[디지털데일리 강소현 기자] LG유플러스가 올 1분기 3사 중 가장 저조한 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전체 매출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단말수익 감소에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13일 LG유플러스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연결기준 2022년 매출액 3조1413억원, 영업이익 2568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보다 각각 0.8%, 3.7% 감소하며 증권가 컨센서스를 웃도는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모두 올 1분기 시장전망치(컨센서스)를 하회했다. 당초 증권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는 올 1분기 매출 3조5460억원, 영업이익 2661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관측했다.
이번 실적에는 영업수익이 큰 영향을 미쳤다. 영업수익은 신규 플래그십 단말 출시 지연에 따른 단말수익 감소로 전년동기 대비 0.2% 감소한 3조4100억원을 기록했다. 같은기간 단말수익은 12.3% 줄어든 6358억원으로 집계됐다. 서비스수익은 전 사업의 고른 성장으로 3.1% 증가한 2조7742억원을 기록했다.
무선 사업 매출은 5G 가입자의 증가 속에 소폭 성장했다. 알뜰폰(MVNO) 수익을 포함한 전체 무선사업 매출은 1조5182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3% 증가했다. 특히 5세대 이동통신(5G) 가입자가 늘면서 데이터 이용료 등을 포함한 서비스수익은 전년보다 1.5% 증가한 1조4316억원을 기록했다. 2022년 1분기 기준 5G 가입자는 503만4000명으로, 직전분기 대비 8.8% 증가했다. 같은기간 전체 가입자 가운데 5G 가입자 비중도 25%에서 27.3%로 성장했다.
알뜰폰(MVNO) 가입자도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며 매출을 견인했다. 중소기업 상생 정책과 MVNO 컨설팅 전문 매장 활성화 등에 힘입어 1분기 알뜰폰 가입자 수는 직전분기 대비 8.6% 증가한 307만명으로 집계됐다.
무선 가입자당평균매출(ARPU)는 감소했다. 무선 ARPU는 2만9634원으로 전년보다 4.2% 줄었다. 신사업 성장으로 상대적으로 ARPU가 낮은 IoT 회선이 증가한 데 따른 영향이라는 사측 분석이다.
이 기간 망 투자 비용도 줄었다. 올해 1분기 설비투자(CAPEX) 규모는 362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4.8%, 직전분기대비 59% 줄었다.
스마트홈 부문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9.7% 늘어난 5816억원을 기록했다. 인터넷TV(IPTV)와 기가인터넷 가입자 증가에 따른 것이다.
먼저, IPTV 가입자의 꾸준한 성장으로 IPTV사업 매출은 전년보다 10.6% 상승한 3327억원을 기록했다. IPTV 가입자는 2022년 1분기 기준 541만명으로 직전분기 대비 1.2% 늘었다. 영유아 전용 서비스인 ‘U+아이들나라’와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등 콘텐츠 경쟁력과 고객 중심의 UI·UX 개편으로 서비스 만족도를 높인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LG유플러스 측은 분석했다.
초고속인터넷 매출은 2489억원으로, 전년보다 8.6% 올랐다.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수 역시 2021년 4분기 475만명에서 2022년 1분기 482만명으로, 1.3% 늘었다.
기업인프라 수익도 매출을 견인했다. IDC와 솔루션, 기업회선 매출은 각각 638억원, 1113억원, 1873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동기대비 각각 13.7%, 14.7%, 0.4% 성장한 수치다.
LG유플러스는 올해 ‘고객 경험 혁신’을 통한 질적 성장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신규 사업의 구체화 및 안정적 사업 안착에도 집중한다. 그 일환으로 올 1분기 데이터, 콘텐츠 분야 집중 육성을 위해 전문 역량을 겸비한 최고데이터책임자(CDO), 최고콘텐츠책임자(CCO)를 영입했다.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CFO) 이혁주 부사장은 “올해 1분기 고객 경험 혁신을 중점에 둔 경영 활동으로 유무선 및 신사업 등 전체 사업 영역에서 고른 성장을 이뤄낼 수 있었다”며 “올해 전체 사업 영역의 질적 성장을 지속해 경영 목표와 주주 가치 제고를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넷플릭스 1분기 27%↑ 영업익 4조원…韓 ‘폭싹속았수다’ 흥행 언급도
2025-04-18 16:24:08[AI시대, ICT 정책은①] ‘정부주도→민간주도’…“인프라 위한 해외자본 유치 필수” 의견도
2025-04-18 15:28:56우리은행, 18일 알뜰폰 서비스 정식 출시…청소년 셀프 개통으로 차별화
2025-04-18 13:29:18과기정통AI부 설치법, 당론 채택될까…ICT 거버넌스 개편 논의 본궤도
2025-04-18 13:29:11SK브로드밴드, K리그2 생중계로 지역밀착형 미디어 역할 강화
2025-04-18 09:16:40“무료 체험 뒤 몰래 결제?”…다크패턴, 근절 방안 마련한다
2025-04-18 16:23:01위믹스, 1차 바이백 중간경과 보고… 해킹 탈취 물량 바이백 완료
2025-04-18 14:27:08전동킥보드 이어 공항버스도 정리…티맵모빌리티, 체질개선 속도
2025-04-18 14:12:28네이버-컬리, 이커머스 분야서 전방위 협업…“시너지 확대 기대”
2025-04-18 11:11:27무신사 뷰티, '주술회전' 소환…주미소 컬래버 마스크 출시
2025-04-18 09:16:57"공개일 유출 의혹에 미정이라더니"…디즈니+, '나인퍼즐' 5월21일 공개
2025-04-17 18: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