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조윤정기자] 월스트리트 주요 은행들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엑스(X·구 트위터) 인수 자금 중 30억달러(약 4조3600억원) 규모의 대출 채권 매각 준비를 하고 있다고 12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이는 모건 스탠리를 비롯한 월가 은행들이 지난주 55억달러(약 8조원) 규모의 대출 채권을 성공적으로 매각하면서 해당 거래 역시 탄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거래가 성사되면 은행들은 2년 동안 떠안고 있던 부채 부담을 덜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머스크 CEO는 2022년 엑스 인수를 위해 440억달러(약 64조원) 인수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뱅크오브아메리카(Bank of America), 바클레이즈(Barclays), 미즈호(Mizuho), MUFG, 소시에테제네랄(Société Générale), BNP 파리바(BNP Paribas) 등 7개 대출 기관에서 약 130억달러(약 19조원)를 대출받았다.
은행들은 머스크CEO에 단기 대출을 지원한 후 사모펀드에 매각할 계획으로 해당 인수건에 참여했으나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 결정과 머스크의 거래 철회 시도 등 불안정한 상황으로 투자자들에게 외면받았다.
이후 머스크의 엑스 인수건이 성사되자 은행들은 자금을 조달할 수 밖에 없었고, 대출금을 그대로 떠안으며 큰 손실을 입게 됐다. 그러나 지난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당선되고 머스크가 트럼프 행정부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정부효율부(DOGE) 장관에 임명되면서 대출 채권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은 반등했다. 특히 머스크의 인공지능 스타트업 xAI에 대한 지분을 X가 보유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큰 주목을 받았다.
월가 은행들은 이번 30억달러(약 4조3600억원) 규모의 대출 채권을 기존에 제공했던 추가할인 없이 9.5% 고정금리로 매각할 예정이다. 현재 채권 주문이 50억달러(약 7조2720억원)를 넘어섬에 따라, 가격 경쟁력을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은행들이 이번달 매각을 완료하면 엑스 인수 자금 조달을 위한 대부분의 부채를 정리하고 약 30억달러(약 4조3600억원) 규모의 후순위 무담보 브릿지 대출만 남게 된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일회성 비용 털어낸 KT…김영섭호 올해 수익성 개선 사활(종합)
2025-02-13 15:25:58[틈새유통] 패션부터 가전·과일까지…트렌드 이끄는 홈쇼핑 업계
2025-02-13 14:39:52KT, 지난해 매출 16조원 돌파…상장 이후 연 최대 매출
2025-02-13 14:33:39"좀비 향기 남기고 갔단다"…'뉴토피아'표 '좀콤'이란 [콘텐츠뷰]
2025-02-13 13:51:51[컨콜] “올해는 수익화 정말 가능하냐” 질문에…SKT 답변은(종합)
2025-02-12 17:59:46크림, 전문 셀러 거래액 225배 증가… 판매자 친화 정책 주효
2025-02-13 14:36:31법원 “‘다크앤다커’, 저작권 침해 아냐… 넥슨에는 85억원 지급해야”
2025-02-13 14:35:33구글 피차이 CEO "양자컴퓨터 실용화, 5∼10년 안에 온다"
2025-02-13 13:50:38[종합] 컴투스, 작년 영업익 66억원 적자 늪 탈출… ‘게임’으로 동력 확보
2025-02-13 12:07:20[컨콜] 컴투스 “AI 기술 3가지 방향성으로 적극 활용할 것”
2025-02-13 11:2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