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박현영기자] 중국 ‘헝다그룹’ 사태가 가상자산 시장에 끼칠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대훈 SK증권 연구원은 23일 보고서를 통해 “헝다그룹 이슈를 계속 모니터링해야한다”면서도 “헝다그룹 이슈가 가상자산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란 우려는 과도하다”고 판단했다.
앞서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인 헝다그룹의 파산 위기가 대두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에 공포감이 조성됐다. 증시와 더불어 추석 연휴 동안 비트코인(BTC)을 비롯한 주요 가상자산 가격도 10% 이상 크게 하락했다. 가상자산 전체 시가총액 규모도 2조 1000억달러에서 1조 8000억달러 수준으로 15% 이상 감소했다.
하지만 가상자산 시장에서 중국의 영향력은 이전보다 줄어든 상태다. 중국 정부가 은행과 핀테크 기업을 압박해 가상자산 관련 거래를 금지하고, 채굴도 금지했기 때문이다. 그동안 가상자산 시장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컸던 이유는 비트코인 채굴기업의 대다수가 중국에 있기 때문이지만, 현재는 그렇지 않다.
한 연구원은 “채굴기업의 90%가 폐쇄하거나 해외로 이전했다”면서 “가상자산 시장에서 중국의 영향력은 많이 약해졌다”고 평가했다. 때문에 헝다그룹이 가상자산 시장에 미칠 영향도 우려만큼 크지는 않을 것이란 설명이다.
일각에서는 스테이블코인 테더(USDT) 발행사인 테더(Tether)사가 헝다그룹의 회사채를 보유하고 있다는 소식이 퍼지기도 했다. 이 소식 역시 악재로 작용했다. USDT가 가상자산 시장에서 기축통화 역할을 하는 만큼, 만약 테더사가 헝다그룹의 채권을 보유하고 있다면 가상자산 시장에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한 연구원은 “테더의 헝다그룹 회사채 보유 소식도 현재로선 루머에 가깝다”고 진단했다.
연휴 동안 가상자산 가격이 하락한 것에 대해선 “헝다그룹 이슈 부각에 따른 리스크 회피가 가격상승에 따른 차익실현의 빌미로 작용했다”고 판단했다.
최근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가격이 호조세를 보이면서 차익 실현 기회를 노리던 투자자들이 생겼고, 이들이 헝다그룹 이슈를 빌미로 보유분을 매도했을 것이란 추측이다.
크게 우려할 이슈는 아니지만, 헝다그룹 이슈를 계속 모니터링할 필요는 있다. 한 연구원은 “글로벌 금융시장 전체적으로 봤을 때 헝다그룹 사태는 예의주시할 이슈임이 분명하다”면서 “글로벌 금융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면 가상자산 역시 하락은 불가피하다”고 짚었다.
다만 “현재까지 진행된 상황을 지켜볼 때 헝다그룹 이슈만으로 가상자산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단정짓기는 힘들고, 중국의 영향력도 예전만 못하다”며 “현재까지의 우려는 과도하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딜라이트닷넷] 통신3사, ‘AI 브랜드’ 강화 나섰다…AI 전문기업 전환 속도
2025-04-11 17:31:18'ICT 협력채널' 한일중 ICT 장관회의 개최…7년만에 재개
2025-04-11 17:13:15[전문가기고] “지역경제 숨통, 케이블TV 지역광고 규제완화가 마중물”
2025-04-11 14:32:28"너흰 못 보는데 왜"…中 휩쓴 '폭싹 속았수다' 김선호 챌린지
2025-04-11 13:49:19CJ온스타일, 컴온스타일 기간 뷰티∙식품 거래액 ‘쑤욱’
2025-04-11 10:59:32카카오 김범수, 재판 불출석…"수술 회복중, 당분간 참석 어려워"
2025-04-11 18:13:14[DD퇴근길] 점유율 높인 '쿠팡이츠서비스', 영업이익률이 1.1% 라고?
2025-04-11 17:14:55"장애인 여행객도 자유롭게"…놀유니버스, 무장애 여행 캠페인 진행
2025-04-11 17:13:39하이브·경기북부청 공조…아티스트 딥페이크 범죄 피의자 검거
2025-04-11 17:12:56카카오, OECD 회의서 '상권 살리기' 성과 발표…"단골 1만명 확보"
2025-04-11 16:19:48[빅테크 24시] 인스타그램 "Z세대 놓칠라"…틱톡따라 검색 개편
2025-04-11 16:16: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