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콘텐츠

"너흰 못 보는데 왜"…中 휩쓴 '폭싹 속았수다' 김선호 챌린지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의 한 장면. [ⓒ 관련 영상 갈무리]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의 한 장면. [ⓒ 관련 영상 갈무리]


[디지털데일리 채성오기자] 중국 MZ세대 사이에서 '폭싹 속았수다' 속 '박충섭(김선호 분)'의 연기 장면이 챌린지 형태로 유행하면서 현지 시청자들의 콘텐츠 불법 시청 행태가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현지 중국 언론들도 관련 챌린지를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소개하고 있어 K-콘텐츠에 대한 불법 시청을 자인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뒤따른다.

11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중국 현지에서 이른 바 '김선호 챌린지'가 틱톡, 더우인, 사오홍슈 등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해당 챌린지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 13부 중 양금명(아이유 분)와 박충섭의 결혼식 장면에서 유래됐다. 충섭이 웨딩드레스를 입은 금명을 본 후 심장을 부여잡고 고개를 떨군 후 윙크를 하며 웃는 모습이 챌린지가 됐다.

틱톡에서 폭싹 속았수다의 충섭 장면을 따라하는 '김선호 챌린지'가 유행하고 있다. [ⓒ 틱톡 영상 갈무리]
틱톡에서 폭싹 속았수다의 충섭 장면을 따라하는 '김선호 챌린지'가 유행하고 있다. [ⓒ 틱톡 영상 갈무리]


관련 장면을 따라하는 영상은 '金宣虎笑容模仿(김선호 웃음 챌린지)'나 'Kim Seon-ho Smile Challenge' 등의 해시태그를 단 챌린지로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콘텐츠 크리에이터 뿐만 아니라 얀안, 천페이루, 바이루 등 중국 배우들까지 동참하면서 중국 현지에서 빠르게 확산되는 모습이다.

중국에서 폭싹 속았수다가 챌린지화될 만큼 유행하고 있지만 정작 넷플릭스가 서비스 되지 않는 국가인 점을 감안하면 불법 시청이 만연하게 이뤄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현지 매체도 이를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분석하며 K-콘텐츠 불법 시청을 자연스럽게 묵인하는 모습이다.

이날 중국 매체 <차이나뉴스위클리>는 "연예계 스타들이 김선호의 웃음을 따라하는 현상이 새로운 인터넷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는 것은 젊은이들이 대중 문화에 열정적으로 참여하고 독특한 표현 방식을 반영한다"며 "향후 이런 현상이 계속 확산돼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더 많은 혁신과 활력을 가져올 수 있다"고 전했다.

'김선호 챌린지'를 현지 문화 트렌드로 조명한 중국 매체 <차이나뉴스위클리>의 기사 내용. [ⓒ 차이나뉴스위클리 홈페이지 갈무리]
'김선호 챌린지'를 현지 문화 트렌드로 조명한 중국 매체 <차이나뉴스위클리>의 기사 내용. [ⓒ 차이나뉴스위클리 홈페이지 갈무리]


중국의 콘텐츠 불법 시청은 비단 어제 오늘만의 일이 아니다. 지난 3일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에 따르면, 최근 중국 장가계 시 측은 폭싹 속았수다에서 나온 대사를 인용해 "드라마에서 장가계를 언급해줘서 감사하다"며 "가을을 기다릴 필요 없이 지금 바로 출발하라"고 전했다. 중년의 애순(문소리 분)과 관식(박해준 분)이 나눈 대화 중 "내년에는 단풍보러 장가계 가자"라는 대사를 이용해 관련 지역을 홍보한 셈이다.

콘텐츠업계의 한 관계자는 "중국은 넷플릭스 시청 불가 지역인 데 K-콘텐츠가 나올 때마다 SNS와 현지 콘텐츠 분석 플랫폼에 평가가 도배되곤 한다"며 "이제는 K-콘텐츠가 넷플릭스 등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와 함께 전 세계적인 문화로 자리잡은 만큼, 정부 차원에서 강경히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