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인터넷

카카오T 결국 요금인상 철회…‘플랫폼 독점화’ 숙제 남겼다


[디지털데일리 권하영기자] 잇따른 유료화 추진으로 거센 비난을 받은 카카오모빌리티가 결국 요금 인상 정책을 철회했다.

요금 인상에 반대한 택시업계와 이용자들은 한시름 놓게 됐지만 우려는 여전하다. 거대 플랫폼의 시장 독점화가 불러올 문제점들이 결국 수면 위로 드러났다는 평가다.

13일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2일부터 시행한 카카오T 택시 ‘스마트호출’ 탄력 요금제의 요금 범위를 최대 5000원에서 최대 2000원으로 재조정한다고 밝혔다.

앞서 카카오모빌리티는 스마트호출의 요금 정책을 기존 1000원(야간 2000원) 정액제에서 ‘최소 0원~최대 5000원’ 탄력요금제로 변경했다. 스마트호출은 카카오T로 택시를 부를 때 배차 성공률을 높여주는 인공지능(AI) 배차 시스템이다. 빈 택시가 많을 땐 무료로, 승객 수요가 많을 땐 최대 5000원의 요금을 매기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즉각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요금이 탄력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공급이 많으면 오히려 호출비가 기존보다 낮아진다”고 항변했지만, 택시기사들과 이용자들은 사실상의 요금 인상이나 다름 없다며 비판했다. 이용자 입장에선 상황에 따라 택시 기본요금(3800원)보다 더 많은 호출비를 내야 하는 것이다.

실제,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 등 택시 4개 단체는 지난 11일 성명서를 내고 “택시 승객 부담을 증가하는 호출 요금 인상을 반대한다”라며 “택시업계와 협의없는 일방적 호출요금 인상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결국 카카오모빌리티가 한발 물러섰다. 회사 측은 “택시를 잡기 어려운 시간대나 지역에서 기사님이 호출을 더 적극적으로 수락하도록 도입한 기능이었지만, 오히려 이용자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며 이 같은 의견을 수용해 탄력 요금제를 이전의 상한선인 ‘2000원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하겠다”고 했다.

이와 함께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T 바이크 요금도 중장거리 이용자의 부담이 커진다는 의견을 경청해, 이용자 부담이 늘지 않는 방향으로 재조정해 조만간 공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T 바이크(전기자전거)의 요금 역시 분당 100원에서 150원으로 인상하겠다고 예고했었다.

◆ 플랫폼 독점화의 결말은 시장 종속

카카오모빌리티의 요금인상 철회로 사태는 일단락 됐지만, 일각에선 플랫폼 사업자의 시장 독점화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카카오모빌리티는 국내 택시호출 시장에서 점유율 80%를 차지하고 있다. 전국 택시기사 25만명 가운데 23만명이 가입했고, 앱 가입자 수는 2800만명에 이른다. SK텔레콤에서 분사한 티맵모빌리티와 우버의 합작법인인 ‘우티’가 이 시장에서의 유일한 경쟁자지만, 단시간에 격차를 좁히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카카오모빌리티가 독점적인 플랫폼 지위를 앞세워 전반적인 서비스 요금 인상에 나선 것 아니냐고 보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의 시장지배력이 공고해질수록 이러한 논란은 언제든 다시 발생할 수있다고 보는 이유다.

애당초 카카오모빌리티의 유료화 전초였던 택시기사 대상 ‘프로멤버십’ 은 콜 잡기 경쟁이 치열한 택시기사들 사이에서 사실상 필수 선택으로 떠오른 상황이다. 이 멤버십은 원하는 기사들만 가입하면 되는 상품이긴 하지만, 특정 목적지로 가는 호출 목록을 빠르게 확인하는 기능 등이 포함돼 있어 ‘콜 몰아주기’ 논란이 일었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오는 2022년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있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기업 입장에선 상장이 예정된 시점에서 흑자 전환을 위해 수익모델 발굴이 중요한 상황이다. 이번 유료화 정책도 그 일환으로 보여진다.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는 지난 2분기 카카오 실적 발표 당시 카카오모빌리티에 대해 “연간 BEP(손익분기점)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한편, 카카오모빌리티는 “이용료 개편으로 서비스 이용에 혼란과 불편을 끼쳐드린 점 사과드린다”며 “당사 서비스가 미치는 사회적 영향을 보다 더 무겁게 받아들이고, 이를 계기로 출퇴근, 심야시간에 집중되는 택시 수요공급 불균형 문제와 요금의 적정성을 모두 신중하게 고려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