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무선

[디지털뉴딜⑥] “5G 융합서비스 찾아라”…3년간 1200억 투입


[디지털데일리 권하영기자] 4차산업혁명의 혈류로 꼽히는 5G 산업과 관련, 정부가 5G 융합서비스 발굴을 주요 과제로 삼았다. 5G 시장 확대를 위한 보안 과제 해결을 위해 양자암호통신 인프라 구축도 함께 추진한다.

1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디지털뉴딜 사업설명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계획을 소개했다. 최근 정부가 코로나19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3차 추경을 결정한 가운데 총 8324억원 규모의 디지털뉴딜 정책 일환으로 5G 융합서비스 확보 과제가 추진될 예정이다.

현재 5G 관련 예산은 정부·공공망 구축(100억원) 외에 융합서비스와 가상·증강현실(VR·AR) 등 콘텐츠 분야에만 600억원이 편성됐다. 정부는 지난해 4월3일 세계최초 5G 상용화 이후 1년이 지나 선점 효과가 약해졌고, 특히 스마트팩토리와 원격진료 등 기업용서비스(B2B) 영역에서 성과 창출이 더디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중 융합서비스 발굴 사업에는 올해에만 400억원, 향후 3년간 총 1200억원이 투입된다. 이영로 한국정보화진흥원(NIA) 지능형인프라본부장은 “기존 시범사업과 다르게 예산 규모가 훨씬 크다”면서 “능력 있는 기업을 많이 지원해 5G B2B 분야가 새로운 먹거리가 되도록 장기 프로젝트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융합서비스 모델은 국민적 관심이 높은 ▲공공서비스 ▲비대면서비스 외에도 ▲산업 영역에서 분야별 모델을 중점적으로 발굴한다는 구상이다. 예컨대 의료 교육 방역 안전 산업 국방 교통 농업 등 구체적인 모델을 발굴하고 공공영역에 시범 적용한다. 공공선도 시범 서비스는 총 5건으로 건당 40억원이 책정돼 있다.

특히 5G 인프라 구축 관련해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를 중심으로 공공 수요를 찾아나선다. MEC는 데이터가 오가는 물리적 구간을 좁혀 5G의 초저지연 속성을 극대화하는 기술이다. 이영로 본부장은 “로컬라이징된 컴퓨팅 환경과 융합돼야 공장자동화, 고속서비스, 인터랙티브 콘텐츠 등이 구현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5G 저변을 확대하는 동시에 늘어나는 보안 우려에 대응하기 위해 양자암호통신 인프라 구축에도 힘을 쏟는다. 실제 산업 현장에서는 기업의 핵심적인 노하우나 민감한 개인정보가 유출될까봐 5G 무선망을 잘 사용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적지 않다. 양자암호통신은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보안성을 자랑하는 만큼 추후 시장 확대가 기대된다.

현재 국내 통신사들과 일부 중소기업이 양자암호통신 연구개발(R&D)에 투자해 제품을 개발하고 있으나, 활용할 수 있는 초기 레퍼런스는 부족한 실정이다. 정부는 “양자암호는 시장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가급적 정부가 많은 지원을 할 수 있도록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업 예산 총 150억원을 정부가 전액 지원하는 방안도 고려된다.

사업기간은 총 3년으로, 공공·의료·산업 등 3개 분야에서 컨소시엄 구성 등을 통해 각각 1~2개 과제를 선정할 계획이다. ▲양자통신시범망 구축 ▲민감데이터 송수신 및 응용서비스 모델 발굴 ▲기능·성능 및 보안성·안전성 실증 ▲시범서비스 확산 ▲중소기업 협력 공급생태계 구성 등의 과제가 떠오른다.

<권하영 기자>kwonhy@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