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e비즈*솔루션

KT클라우드 기술 리더 총출동…‘AI파운드리·데이터센터·오픈스택’ 삼각편대

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된 ‘KT 클라우드 서밋 2025’에서 KT클라우드의 공용준 클라우드본부장이 기조연설을 발표하고 있다. [Ⓒ 디지털데일리]
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된 ‘KT 클라우드 서밋 2025’에서 KT클라우드의 공용준 클라우드본부장이 기조연설을 발표하고 있다. [Ⓒ 디지털데일리]

[디지털데일리 권하영 기자] KT클라우드가 기술 리더십 강화를 위한 전략 청사진을 본격 공개했다.

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된 ‘KT 클라우드 서밋 2025’에서는 KT클라우드의 공용준 클라우드본부장, 허영만 데이터센터(DC)본부장, 안재석 기술본부장이 기조연설자로 연달아 무대에 올라 AI 전환 시대에 대응하는 기술 전략을 발표했다.

이들 리더들은 최지웅 대표가 KT클라우드 수장을 맡은 이래 회사의 기술 리더십 강화를 위해 지난 1년간 외부에서 영입된 AI 및 클라우드 분야 전문가들이라는 공통점도 가진다. SK C&C와 카카오 출신 공용준 본부장과 LG CNS 출신 허영만 본부장은 지난해 말 KT클라우드에 전격 합류했으며, 그에 앞서 지난해 8월 선임된 안재석 본부장은 국내 오픈스택 커뮤니티를 설립하고 글로벌 오픈소스 생태계 육성에 앞장 선 인물이다.

이날 각 발표는 ▲AI 파운드리 ▲초고성능 데이터센터 ▲오픈 기반 통합 인프라 플랫폼이라는 세 갈래를 중심으로, KT클라우드가 단순 인프라 공급을 넘어 기술 중심의 엔드투엔드(End to End) 파트너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공용준 클라우드본부장은 KT클라우드의 핵심 전략으로 ‘AI 파운드리’를 제시했다. 그는 “AI 도입을 원하는 기업들이 데이터 준비, 모델 선택, 인프라 조달, 인력 확보 등 현실적인 장벽에 막혀 있다”며 “KT클라우드는 이를 단일 파이프라인으로 제공하는 올인원 AI 허브가 되고자 한다”고 밝혔다.

AI 파운드리는 하드웨어부터 벡터 데이터베이스(DB), 머신러닝운영(MLOps)까지 전 과정을 연결하는 산업별 맞춤형 플랫폼으로, 공 본부장은 이를 “다양한 재료를 한곳에 모아 주조하듯 원하는 AI 솔루션을 자유롭게 만들어내는 플랫폼”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KT클라우드는 업스테이지·디노티시아·폴라리스오피스·리벨리온과 AI 파운드리 사업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를 토대로,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경량화된 AI 모델과 모듈형 검색증강생성(RAG) 서비스를 통해 AI 시스템을 간편하게 구현하는 AI 파운드리 서비스를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공 본부장은 “이 모든 것을 KT클라우드가 독점하는 게 아니라 최고 파트너들과 유연한 생태계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된 ‘KT 클라우드 서밋 2025’에서 KT클라우드의 허영만 데이터센터(DC)본부장이 기조연설을 발표하고 있다. [Ⓒ 디지털데일리]
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된 ‘KT 클라우드 서밋 2025’에서 KT클라우드의 허영만 데이터센터(DC)본부장이 기조연설을 발표하고 있다. [Ⓒ 디지털데일리]

허영만 데이터센터본부장은 AI 시대 인프라 기반으로서 데이터센터의 역할 변화를 짚었다. 그는 “데이터센터의 리더십은 이제 규모가 아니라 기술에 있다”고 선언하며, 냉각·운영·보안까지 포함한 고밀도 AI 전용 설계 전략을 소개했다.

KT클라우드는 오는 5월 가산 데이터센터를 오픈하며, 국내 최초로 D2C(Direct-to-Chip) 냉각 기술을 도입한 132킬로와트(kW) 랙 설계를 선보인다. 허 본부장은 “2028년까지 600kW급 GPU 서버를 수용할 수 있는 초고집적 인프라로 진화할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신소재 기반 열 전달 기술, 재생에너지와 하이브리드 냉각 등 완전히 새로운 차세대 냉각 기술 도입도 선제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이와 함께 AI 실증센터, 자체 구독형 GPU서비스(GPUaaS)인 ‘콜로닷AI(colo.AI)’, 자동화운영플랫폼(DIMS) 등 차별화된 상품 전략도 함께 발표했다. 허 본부장은 “단순히 센터를 짓는 것에만 그치지 않고 AI 인프라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체계까지 완성하고 싶은 고객에 있어 가장 효율적이고 전략적인 선택지가 될 것”이라 말했다.

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된 ‘KT 클라우드 서밋 2025’에서 KT클라우드의 안재석 기술본부장이 기조연설을 발표하고 있다. [Ⓒ 디지털데일리]
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된 ‘KT 클라우드 서밋 2025’에서 KT클라우드의 안재석 기술본부장이 기조연설을 발표하고 있다. [Ⓒ 디지털데일리]

마지막으로 안재석 기술본부장은 KT클라우드의 미래 기술 전략을 4가지 키워드로 정리했다. 그는 “‘넥스트(Next)’, ‘시너지(Synergy)’, ‘원 클라우드(One Cloud)’, ‘오픈 에코시스템(Open Ecosystem)’을 중심으로 클라우드 네이티브와 AI 파운드리를 아우르는 통합 인프라를 제공하는 다음 단계로 도약하고자 한다”고 역설했다.

아울러 오픈스택과 쿠버네티스를 융합한 유니파이드 인프라, 가상머신(VM)과 컨테이너를 넘나드는 유연한 리소스 운영, 적극적인 오픈소스 생태계 기여,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등으로 기술 중심 플랫폼 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이와 함께 안 본부장의 소개로 연단에 오른 락스페이스(Rackspace) 크리스 브루 디렉터는 KT클라우드의 글로벌 기술 파트너로서 공동 개발 중인 오픈소스 클라우드 플랫폼 ‘젠스택(Genestack)’의 비전을 소개했다.

브루 디렉터는 젠스택에 대해 “우리는 오픈스택과 쿠버네티스를 독자적으로 융합했고, 이를 통해 수천 노드까지 확장 가능한 기술 구조를 단순화시켰다”며 “멀티 AZ(가용영역) 및 리전에서 동일하게 동작하며, 쿠버네티스와 오픈스택 간 네트워크 통합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오픈스택에서는 DB가 VM으로 구동되고, 쿠버네티스에서는 웹서버가 컨테이너로 동작하더라도 서로 자유롭게 통신할 수 있게 된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락스페이스는 젠스택과 관련된 어떠한 기능도 유료화하지 않겠다고 약속한다”고도 밝혔다.

KT클라우드는 이번 서밋을 통해 기술 내재화와 글로벌 협력 기반의 통합 플랫폼 전략을 분명히 했다는 평가다. AI 파운드리, 고밀도 AI 데이터센터, 오픈소스 기반 클라우드 인프라를 삼각축으로, 국내 IT 인프라 시장에서 기술 중심 클라우드 플랫폼 사업자로의 전환을 본격화하겠다는 방침이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