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향후 30년도 점유율 50%는 지켜진다. 다만 정보통신기술(ICT) 업계 변화에 따라 가입자 기준은 바뀔 것이다.”
29일 SK텔레콤 하성민 대표는 서울 명동 전국은행연합회관에서 열린 ‘이동통신 30년 향후 30년 정보통신기술(ICT)발전 대토론회’ 직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하고 이동통신 점유율 50%는 SK텔레콤이 통신사업을 하는 한 양보할 수 없는 가치라고 강조했다.
이날 하 대표는 토론회 기조연설을 통해 ‘ICT노믹스(ICT+Economics)’를 제시했다. ICT노믹스는 향후 ICT가 삶의 전반에서 혁명적 변화를 촉발하는 전혀 새로운 형태의 경제가 펼쳐지는 것을 의미한다.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은 ICT노믹스의 또 다른 혁신 엔진이다.
하 대표는 “현재는 음성 가입자 점유율 50%지만 IoT 등 여러 비즈니스 모델 발전에 따라 점유율에 대한 시각이 변할 것”이라며 “언제나 SK텔레콤이 산업을 주도하고 1위 사업자로써 책임을 지겠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SK텔레콤은 과거 30년의 영광을 이어가기 위해 향후 30년의 기반이 될 5세대(5G) 이동통신 투자에 앞장선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5G 시범 서비스를 시작하고 2020년 본격 상용화 한다. 전 세계적 움직임보다 1~2년 빠른 접근이다. 5G 이동통신은 4세대(4G) 이동통신 롱텀에볼루션(LTE)의 1000배 이상 속도를 내는 기술이다.
하 대표는 “아직은 구체적 서비스는 없지만 2~3년전 LTE 상용화 때도 그랬다”라며 “대신 5G가 되기 전 IoT가 훨씬 구체화 되고 빅데이터 등에 대한 분석은 보편화 될 것”이라며 소비자 체감 변화나 사업 기회 창출은 기술의 발전이 자연스럽게 이끌어 낼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앞으로 ‘빠른’ 경쟁보다 ‘바른’ 경쟁을 추구하겠다는 것이 SK텔레콤의 방향. 이를 위해 연내 ‘착한 ICT연구소’를 만든다.
하 대표는 “지금의 경영은 바꿔야 할 것이 많다. 상품 서비스 중심으로 경쟁을 하고 이익은 투자나 고객 환원을 해야하는데 그러지 못하는 시장 환경이 안타깝다”라며 “그래도 1위 사업자로써 내부적으로 변화를 꾀하고 있고 착한 ICT연구소도 쓴 소리를 많이 할 수 있는 사람을 모아 맹목적 성장을 위한 기술 발전 보다는 우리 사회 전체를 위한 기술 발전, 곧 ‘착한 ICT노믹스’를 실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윤상호 기자>crow@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재명 1호 공약 실현한다…민주당 정보통신위원회, LGU+ 평촌메가센터 방문
2025-05-13 13:47:25SKT 1분기 설비투자, 3사 중 가장 적어…“정보보호 투자 소홀과 무관”
2025-05-13 11:55:30통신3사 ‘갤럭시S25 엣지’ 사전예약 실시…“SKT는 기기변경만”
2025-05-13 10:41:03LGU+·토스 협업, AI ‘익시’ 브랜드 행사에 180만명 참가
2025-05-13 09:41:49통신3사, 비용통제로 영업익 사수…“AI 수익 가시화 시동”
2025-05-12 18:54:16AI 사라진 SKT 컨콜, 2분기 어쩌나…“본원적 경쟁력 강화 집중”(종합)
2025-05-12 18:49:23넥슨게임즈, 1분기 적자전환…"신작 개발로 인건비 증가"
2025-05-13 17:44:51게임위, "1~4월 불법게임물 행정조치 전년比 2배 이상 증가"
2025-05-13 17:22:26신작 부재·소송 비용 탓에…웹젠, 1분기 영업익 50.5% ‘급감’
2025-05-13 17:15:07[DD퇴근길] 넥슨 또 날았다…던파·메이플 흥행, 1Q 매출 1조 돌파
2025-05-13 17:01:44넥슨 올 1분기도 함박웃음…핵심 게임+IP 성장 전략=‘성공적’(종합)
2025-05-13 16:4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