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나연기자]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저비용·고효율 AI 모델로 전 세계 주목을 받으면서 글로벌 거대언어모델(LLM) 개발 경쟁이 확산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딥시크 대응 전략을 비롯한 AI 정책 논의에 불이 붙는 가운데 통신사 등 최근 AI 사업에 나서는 기업들은 ‘AI 네이티브 스타트업’ 활성화를 위해 국가적 인프라 지원과 산업 선순환을 강조했다.
17일 이영탁 SK텔레콤 부사장은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성장은 민주당, 미래의 빅테크 기업을 찾는다’ 간담회에서 “스마트폰 시대에 새롭게 등장한 스타트업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했듯, AI 시대에도 AI 네이티브 스타트업 등 새로운 플레이어가 도약할 기회가 열릴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서는 “경쟁력 있는 기업이 등장하고, AI 시대 기회를 산업·경제적 가치로 연결하려면 건강한 생태계 조성이 핵심”이라며 “AI 생태계 안에서 수요와 공급의 선순환 구조가 구축돼야 한다”고 부연했다. AI 생태계 각 분야 강점은 살리고, 부족한 부분은 보완하는 한편 민관 협력을 통해 건강한 산업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영탁 부사장은 AI 관련한 국가적 장단점에 대해 “전 세계에서 오픈AI 서비스 유료 구독자 수 비율이 최고일 정도로 한국은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 반도체(메모리), 높은 교육열, 기술 수용성 등 AI 시대에 적합한 강점을 보유했다”면서도 “인프라, 모델, 서비스 등 각 AI 레이어에서 글로벌 기업 대비 열세다”라고 평가했다.
빅테크(거대 기술 기업) 중심 인프라 경쟁을 고려할 때 국내 기업들의 투자 여력은 미비한 상황이다. 이 부사장은 “지난 2023년 기준 전 세계 민간 정부 투자 규모가 약 200조라고 추정했을 때 이중 미국은 약 125조, 중국은 약 140조 수준으로 많다”면서도 “우리나라 민관 정부 경우 투자 규모가 1.5%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데이터 분야에서도 활용 범위가 제한적이며 관련 규제들 모호성으로 대규모 데이터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업계 지적이 제기된다. 이 부사장은 “책 한 권 사는데 보통 3만원이라면, AI 학습용 도서를 구입하기 위한 비용은 200만원”이라며 “LLM을 개발하는데 학습용 데이터는 필수적인 만큼, 복제권(TDM) 면책 조항 등 적정 수순 논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SK텔레콤을 비롯해 네이버와 카카오 등 한국 기업들이 자체 혹은 외부 협력을 통해 AI 모델을 개발 중이나 글로벌 기업 LLM이 빠르게 침투하고 있다는 점도 위기 요인으로 꼽힌다.
이 부사장은 “자사를 비롯해 많은 국내 기업이 자체 LLM을 개발하고 있지만 국제 경쟁력이 부족해 독립적인 지위를 확보하기 어렵다”며 “각 분야 장점은 살리되 부족한 부분은 외국과 협업해 글로벌 생태계에 편입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조 등 우리나라 강점이 있는 산업 분야 역시 AI를 전면 도입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할 것을 촉구했다.
이 부사장은 끝으로 독일 생물학자 리비히가 1843년에 제창한 생물학의 ‘최소량의 법칙’을 인용해 “식물이 자라는데 어떤 구성 요소가 하나라도 부족하면 성장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며 “AI 생태계가 균형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각종 정부 정책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미래산업 분야의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마련된 이번 행사는 더불어민주당 싱크탱크 민주연구원과 민주당 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회, 민주당 AI진흥 태스크포스가 주최했다. 첫 번째 주제인 AI산업을 시작으로 총 4회에 걸쳐서 진행될 예정이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고비의 13일’…SKT, 신규가입자 모집 중단 등 유심확보 ‘사활’ (종합)
2025-05-02 13:52:39[일문일답] “유심부족, 14일까지 이어질듯”...위약금 면제는 지속 검토
2025-05-02 13:19:52SKT 유영상 “사회불안 해결될 때까지 일일브리핑 실시”
2025-05-02 11:57:43SKT “정부 권고대로 신규가입 중단, 유심보호 의무 적용”
2025-05-02 10:33:13"SKT, 유심 물량 확보될 때까지 신규 가입자 모집 중단"
2025-05-01 17:18:424월 번호이동 시장 격변…SKT 해킹 여파에 순감규모 58배↑
2025-05-01 13:31:18네이버-소상공인연합회 협력 강화…“소상공인 성장 기회 발굴 앞장”
2025-05-02 11:57:02벼룩시장, 배우 정상훈과 함께한 '일자리 국민 공식' 광고 공개
2025-05-02 11:24:38"한화 돌풍, 내친김에 1위까지?"…‘티빙슈퍼매치'로 만난다
2025-05-02 10:33:39넥슨, 블록체인 게임 ‘메이플스토리N’ 오는 15일 정식 서비스
2025-05-02 09:42:02엔씨 美 게임 스튜디오 ‘엠티베슬’에 지분 투자… 슈팅 게임 클러스터 확장
2025-05-02 09:40:56[버추얼이 간다①] 네이버 치지직 vs SOOP, 버추얼 주도권 경쟁 본격화
2025-05-02 07: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