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최규리기자] LG생활건강이 국내외 소비 부진과 경기 침체 영향을 받으며 올해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감소했다. 전통 주력 채널 부진과 비용 부담 확대가 실적 악화로 이어졌으며, 특히 뷰티와 리프레시먼트 부문의 약세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LG생활건강은 28일 2025년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1조6979억원, 영업이익 1424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1.8%, 영업이익이 5.7% 각각 감소한 수치다. 영업이익 경우 시장 기대치(1348억원)를 상회했다.
사업별로는 뷰티(Beauty)와 리프레시먼트(Refreshment) 부문이 소비 부진과 기저 부담 영향으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감소했다. 반면 HDB(Home Care & Daily Beauty) 부문은 프리미엄 브랜드 판매 호조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증가했다.
뷰티 부문 1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3.4% 감소한 7081억원, 영업이익은 11.2% 줄어든 589억원을 기록했다. 면세점과 방문판매 등 전통 채널 부진이 영향을 미쳤다. 해외 시장에서는 일본 지역에서 더마 코스메틱과 색조 브랜드가 성장했지만 전체 매출 감소를 만회하진 못했다.
HDB 부문은 매출이 2.2% 증가한 5733억원, 영업이익은 13.7% 늘어난 366억원으로 집계됐다. 피지오겔, 유시몰, 닥터그루트 등 프리미엄 브랜드 중심의 해외 판매가 실적을 견인했다.
리프레시먼트 부문 매출은 4164억원으로 4.1%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10.8% 줄어든 469억원을 기록했다. 경기 침체와 비용 부담 확대가 매출과 수익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해외 지역별로는 일본 시장 매출이 23.2% 성장하며 호조를 보였고, 북미는 성장세로 전환됐다. 반면 중국 시장 매출은 4.1% 감소했다.
LG생활건강 관계자는 "시장 변화에 대응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유통 채널별 맞춤형 전략으로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신규가입 전산 중단...“유심보호는 로밍이용자 제외 내일 중 마무리”
2025-05-05 12:51:55“한국+일상+AI”...KT가 말하는 ‘K 인텔리전스’란?
2025-05-05 11:37:29[팩트체크] SKT 해킹사고 관련 스미싱 문자, 어떻게 구분할까
2025-05-04 16:08:29국회입법조사처 “SKT 위약금 자발적 면제, 법적 문제 없을듯”
2025-05-04 16:07:40SKT, 5일 신규가입 중단 시작…“유심교체, 온라인 예약자 우선”
2025-05-04 11:39:40SKT ‘최고단계 비상경영체제’ 선언...“위기 극복 온힘”
2025-05-03 12:35:23CJ ENM, 美 아마존프라임비디오 독점 공급 계약 체결
2025-05-05 11:10:11"가정의 달 수요 꽉 잡아라"…OTT, 'NEW 오리지널' 승부수
2025-05-04 16:08:04[툰설툰설] 피와 복수로 써내려가는 액션… ‘무장 – 무투전’ vs ‘무적자’"
2025-05-04 14:23:30위메이드, 위믹스 상폐 결정 불복… “닥사 기준 불명확, 가처분 소송 낼 것”
2025-05-03 12:17:21엠넷 플러스, 오리지널 '숨바꼭질' 앱 가입 기여 1위…엔시티 위시 다음은?
2025-05-02 23:05:49듀오링고, 148개 신규 언어 코스 출시…"한국어로 일어·중국어 배워요"
2025-05-02 17:1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