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나연기자] 글로벌 정보기술(IT) 시장조사업체 가트너가 올해 전 세계 생성형 인공지능(AI) 지출이 전년 대비 76.4% 증가한 총 6440억달러(한화 약 950조원)에 달할 것이라고 1일 밝혔다.
가트너에 따르면 올해 모든 주요 및 하위 시장에서 생성형 AI 지출이 대폭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존 데이비드 러브록 가트너 수석 VP 애널리스트는 "초기 개념 증명(PoC) 단계에서 높은 실패율과 현재 생성형 AI 결과물에 대한 불만족으로 생성형 AI 기능에 대한 기대감이 낮아지고 있다"면서도 "기반 모델 공급업체는 생성형 AI 모델 규모, 성능,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매년 수십억달러 투자를 지속 중"이라고 말했다.
올해 생성형 AI 지출은 서버, 스마트폰, PC 등 하드웨어에 AI 기능이 통합되면서 많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 생성형 AI 지출의 80%가 하드웨어 부문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
러브록 수석 VP 애널리스트는 "AI 지원 디바이스의 보급 확대에 따라 시장 성장이 좌우될 것"이라며 "오는 2028년까지 AI 지원 디바이스가 소비자 디바이스 시장 대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다만 소비자가 AI 기능을 적극적으로 요구한다기보다 제조업체가 AI를 소비자 디바이스 기본 기능으로 탑재하면서 소비자들이 이를 자연스럽게 구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현상은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러브록 애널리스트는 "최고정보책임자(CIO)들이 예측 가능한 구현과 비즈니스 가치를 위해 맞춤형이 아닌, 상용 솔루션을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며 "모델 개선과는 별개로 CIO는 PoC와 자체 개발을 자제하고, 기존 소프트웨어 공급업체의 생성형 AI 기능 활용에 집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가트너의 생성형 AI 지출 전망 방법론은 생성형 AI 제품 및 서비스 전 범위에 걸쳐 엄격하게 분석된 1000개 이상 공급 업체 매출을 기반으로 한다. 가트너는 1차 연구 기법을 보조 연구 자료로 보완해 예측 근거가 되는 시장 규모 데이터의 포괄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유심 물량 확보될 때까지 신규 가입자 모집 중단"
2025-05-01 17:18:424월 번호이동 시장 격변…SKT 해킹 여파에 순감규모 58배↑
2025-05-01 13:31:18최민희 “SKT, 유심 유출 대신 ‘전화번호 유출 추정’으로 축소 보고 정황”
2025-05-01 13:16:46[IT백과] ”SKT 유출, 최악은 면했다는데”...IMEI와 IMSI 차이 뭐길래?
2025-05-01 13:08:16"새로구미"…유튜브 3000만 조회수 그 영상, 제작사 알고 보니
2025-05-01 18:09:49네이버·삼성·LG·현대차도 빠진 이것…K-로봇, SW로 반격 나선다
2025-05-01 17:19:57메타, 1분기 순이익 35% 증가…AI기반 광고로 수익 확대
2025-05-01 17:19:01'AI 사진' 화제된 지브리풍 장본인 다룬 다큐멘터리 나온다
2025-05-01 13:07:05'항공부터 숙소까지"…놀유니버스, ‘NOL 페스티벌’로 해외여행 혜택 총집합
2025-05-01 11:2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