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조윤정기자] 쏘카가 현대글로비스와 중고차 플랫폼 성장과 탁송 서비스 효율화를 위한 협력에 나선다고 31일 밝혔다.
쏘카와 현대글로비스가 플랫폼 역량을 결합해, 현대글로비스의 중고차 플랫폼 ‘오토벨’ 비대면 내차 팔기 서비스에 쏘카의 탁송 플랫폼 ‘핸들러’를 적용한다. 핸들러는 회원이 쏘카 차량을 이동시키거나 주유, 전기차 충전, 세차 등 미션을 지칭하는 ‘핸들’을 수행하고 일정 수익을 보상받는 서비스로, 전국 2만5000여대의 쏘카 차량의 이동을 담당하는 탁송 플랫폼이다.
핸들러는 오토벨 매각 차량의 검수와 이동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오토벨 고객이 비대면 내차팔기 서비스를 통해 매각하려는 차량의 정보를 온라인으로 등록하고 견적을 받으면, 핸들러 앱에는 매각 차량에 대한 정보, 이동 경로 및 시간, 보상 등 미션에 대한 정보가 올라온다. 다음날 핸들러는 일정에 맞춰 현장에 방문해 차량 상태를 확인하고 경매장으로 차량을 이동시키는 형태다.
앞서 양사는 오토벨의 비대면 내차팔기 서비스에 핸들러를 활용하는 기술검증(PoC)를 진행했다. 평가사가 방문이 어려운 일부 도서산간 지역부터 시작한 기술검증은 높은 만족도와 안전성을 바탕으로 서비스 지역을 확대하며 효율성을 검증해왔다. 지난 18일에는 경남, 경북, 전북 지역까지 서비스를 확대했으며, 상반기 중으로 인천과 경기 지역까지 서비스 운영 지역을 넓혀갈 계획이다.
남궁호 쏘카 최고사업책임자(CBO)는 “이번 협업은 전국 단위의 카셰어링 서비스 운영 인프라를 중고차 플랫폼과 결합해 새로운 물류 혁신 가능성을 발굴할 좋은 기회다”며 “핸들러의 넓은 확장성과 기술력을 기반으로 중고차 거래 플랫폼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나아가 탁송 산업 전반에 혁신을 가져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기정성 현대글로비스 전무는 “이번 협력이 쏘카의 IT 기반 탁송 플랫폼인 핸들러와 오토벨 플랫폼의 시너지를 발휘해 중고차 거래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며 “양사의 협력은 중고차 거래의 디지털화와 서비스 품질 향상을 통해 소비자 중심의 혁신을 실현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쏘카는 2018년부터 전국 쏘카 차량의 이동을 위해 ‘핸들러’를 운영해 왔다. 올해 3월 기준으로 핸들러의 누적 가입자 수는 18만 명에 달하며, 쏘카 차량 운영 규모와 부름·편도 서비스의 꾸준한 증가로 지난해에는 신규 가입자 수가 5만 명에 이르렀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망사용료 또 언급한 美 USTR, 통상마찰 우려 있나 [IT클로즈업]
2025-04-01 17:58:58KT, 삼성전자와 AI 가전구독 서비스 출시…통신업계 최초
2025-04-01 11:07:15SKT 에이닷, 웹 확장프로그램 출시...멀티 LLM 기능에 라이너 추가
2025-04-01 10:03:19“AX로 맞붙자” 통신3사, ‘비통신’ 사업 부진 역사 넘어설까
2025-04-01 09:55:48세종텔레콤, 사업 구조 재편 박차…전기공사 사업 리더십 강화
2025-04-01 09:04:21토종 OTT, 경쟁력 갖추려면…"제작비 줄이고 시즌제로 짧게" (종합)
2025-04-01 20:20:03네이버 AI 브리핑 vs 구글 AI 오버뷰 비교, 결과는?…AI 주권 성공할까
2025-04-01 17:10:16[DD퇴근길] 윤 대통령, 운명의 날…탄핵심판 선고 4일 오전 11시 확정
2025-04-01 17:06:56국제해양영화제, 제10회 OOC 공식 사이드이벤트 주관 기관으로 선정
2025-04-01 16:46:25네이버, 올해 임금 인상률 5.2% 잠정 합의…'스톡 그랜트'는 폐지
2025-04-01 16:4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