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통신*방송

[DD퇴근길] 中 테무의 역습?…韓 오픈마켓 판매자 직접 구한다

디지털데일리가 퇴근 즈음해서 읽을 수 있는 [DD퇴근길]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하루동안 발생한 주요 이슈들을 퇴근길에서 가벼운 마음으로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전체 기사는 ‘디지털데일리 기사 하단의 관련뉴스(아웃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물인터넷(IoT) 이미지 [ⓒ픽사베이]
사물인터넷(IoT) 이미지 [ⓒ픽사베이]


AIoT 주목받자 IoT 회선도 ‘훨훨’...통신 3사 전략은?

[오병훈기자] 산업 분야를 막론하고, 인공지능(AI)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는 시점, 사물지능통신(IoT)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면서 IoT 회선도 꾸준히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AI로 인한 산업 생태계 지각 변동에 따른 통신 업계 관련 사업 전략에도 다시금 관심이 모아지고 있죠.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개한 ‘유·무선통신서비스 가입 현황 및 무선데이터 트래픽 통계’에 따르면, 국내 IoT 회선은 지난 2023년 12월 2361만1317회선에서 꾸준히 성장해 지난해 12월 기준 19.2% 증가한 2815만3454회선을 기록했습니다.

IoT 회선 수 성장 추이는 AI 산업 급부상과 궤를 함께합니다. AI와 IoT를 결합한 ‘AIoT’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제조 산업 자동화 솔루션 및 관제, 모빌리티 자율주행 등에 필요한 통신 인프라로서 IoT가 주목받고 있는 모습이죠. 분야별 IoT회선 현황에서도 AIoT와 연관이 깊은 ‘차량관제’ 및 ‘원격관제’ 회선이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차량관제’(FMS) 분야는 958만2898회선으로 전년 동월 대비 14.5% 증가했죠. ‘원격관제’ 분야는 1588만9695회선으로 전년 동월 대비 25% 증가했습니다.


[ⓒ테무]
[ⓒ테무]


中테무, 韓시장 직진출 사실상 공식화…“오픈마켓 한국 판매자 모집”

[왕진화기자] 글로벌 전자상거래 플랫폼 테무가 한국 판매자들을 대상으로 자사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모집에 나선다고 18일 밝혔습니다. 이번 조치를 통해 테무는 국내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지역 상품을 제공하는 한편, 한국 판매자들에게 수백만 명의 고객과 만날 수 있는 새로운 판로를 열었다고 강조했는데요. 사실상 테무가 한국 진출을 공식화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한국에 등록된 판매자 중 현지 재고를 보유하고 자체 주문 처리 및 배송이 가능한 업체를 대상으로 운영된다고 하네요.

이번 모델을 통해 국내 물류창고에서 더욱 신속한 배송이 가능해지며, 부피가 큰 상품을 포함한 다양한 제품이 테무 플랫폼에서 판매될 수 있게 됩니다. 입점을 원하는 판매자는 구글에서 ‘Temu Seller Center’로 검색, 한국 테무 판매자 센터 페이지를 방문해 등록할 수 있습니다. 테무 관계자는 “테무는 국내 판매자들에게 수백만 명의 신규 고객과 직접 연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라며 “국내 판매자의 플랫폼 입점으로, 소비자들은 테무에서 선호하는 현지 브랜드 제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넷플릭스, 바이포엠스튜디오, NEW]
[ⓒ 넷플릭스, 바이포엠스튜디오, NEW]


카카오엔터, 올해 라인업 大공개…아이유, 변우석까지 손잡는다

[조윤정기자]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올해 작품 라인업을 18일 공개했습니다. 슈퍼IP 원작과 스타 배우들을 앞세워 글로벌 스튜디오로서의 입지를 한층 공고히 한다는 계획입니다. 먼저 오는 4월 첫 방송되는 MBC 새 금토드라마 ‘바니와 오빠들’은 누적 1억7000만 조회수를 기록한 카카오웹툰의 동명 웹툰이 원작으로 올 봄 캠퍼스 로맨스 장르로 선보일 예정이라고 하네요.

오는 2분기 공개 예정인 넷플릭스 시리즈 ‘악연'은 악연으로 얽히고설킨 6인의 이야기를 그린 범죄 스릴러로 역시 카카오웹툰의 동명 웹툰이 원작인데요. 김다미와 손석구의 만남으로 기대를 모으는 디즈니+의 오리지널 시리즈 ‘나인 퍼즐’은 올 상반기 공개됩니다. 오는 3분기에는 최근 캐스팅 소식이 전해진 아이유, 변우석의 MBC 드라마 ‘21세기 대군 부인’이 올해 방송을 목표로 촬영을 시작합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예능 콘텐츠도 선보일 예정입니다. 추성훈의 토크쇼 ‘추라이 추라이’는 오는 26일부터 넷플릭스에서 공개된다고 합니다. 또한 넷플릭스 예능 '모태솔로지만 연애는 하고 싶어'는 모태솔로들의 인생 첫 연애를 돕는 메이크오버 연애 리얼리티 예능으로 올해 상반기 방송 예정입니다.


깃허브에 공개된 딥시크 오픈소스 모델 페이지 中
깃허브에 공개된 딥시크 오픈소스 모델 페이지 中


딥시크 서비스 중단에도...SW기업들 “저비용 AI 시대 온다”

[이안나기자] 딥시크가 개인정보보호 위반 논란으로 국내 서비스를 잠정 중단했습니다. 오픈AI API 대비 최대 90% 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기업 내부 서버 구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었으나,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제3사업자와의 통신 기능 및 개인정보 처리 방침상 미흡한 부분을 확인해 15일 오후 6시부터 신규 앱 설치를 중단시켰는데요.

한글과컴퓨터와 폴라리스오피스 등 국내 소프트웨어 기업들은 딥시크 비용 효율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나, 보안 및 신뢰성 문제 해결이 선결 과제라고 지적했습니다. 이들은 단순한 비용 절감보다 전체적인 운영 효율성과 고품질 AI 서비스 제공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업계는 딥시크를 계기로 오픈소스 기반의 저비용·고효율 모델 개발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각 기업들은 LLM 사용 비용 감소를 가격 인하보다는 서비스 확장과 품질 개선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개인정보위는 딥시크 개인정보 처리 실태를 점검할 예정이며, 국내법에 따른 개선·보완 후 서비스가 재개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기존 이용자들은 이번 조치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 픽사베이]
[Ⓒ 픽사베이]


격화하는 공공 DaaS 경쟁…KT 제친 네이버클라우드, 당락 가른 ‘이것’

[권하영기자] 공공 최대 서비스형데스크톱(DaaS) 사업으로 꼽힌 우정사업본부(이하 우본) DaaS 사업을 최근 네이버클라우드가 윈백(대체)하는 데 성공하면서, 시장을 둘러싼 업계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최근 우본이 발주한 약 76억원 규모 ‘클라우드 기반 인터넷PC(DaaS) 사업’ 입찰 경쟁에서 네이버클라우드는 종합평점 99.6672점(100점 만점)을 기록하며 우선협상대상자로 최종 선정됐는데요.

특히 이번 사업 이전 우본 DaaS 사업을 5년간 수행한 KT클라우드로부터 윈백에 성공하면서 공공 DaaS 레퍼런스를 성공적으로 쌓았다는 평가입니다. 반대로 KT 내부적으로는 사업 낙찰에 적지 않은 충격을 받은 분위기로 알려졌습니다. 업계에선 네이버클라우드와 입찰 경쟁사들의 당락을 가른 주된 요인 중 하나가 인공지능(AI)이라고 보고 있는데요. 자체 AI 기술 ‘하이퍼클로바X’ 기반으로 우본 맞춤형 생성형 AI를 제공하겠다는 네이버클라우드의 제안이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풀이됩니다.

최근 DaaS는 공공 분야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추진과 함께 망분리 기반 업무가 많은 공공·금융 시장에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데요. 이에 클라우드 기업들도 너도나도 새로운 먹거리 중 하나로 DaaS를 주목하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공공 최대 DaaS 사업에서 네이버클라우드가 자체 AI 기술을 무기로 승기를 잡게 되면서 경쟁사들 사이에선 긴장감이 읽힙니다.


웨이퍼를 선보이고 있는 루크 반 덴 호브(Luc Van den hove) 아이멕 회장 겸 CEO. 사진=배태용 기자
웨이퍼를 선보이고 있는 루크 반 덴 호브(Luc Van den hove) 아이멕 회장 겸 CEO. 사진=배태용 기자


9년 만에 온 글로벌 반도체 연구기관 '아이멕'… 韓 시장 확대 가능성은?

[배태용기자] 글로벌 반도체 연구기관 아이멕(Imec)이 반도체 생태계 조성과 연구 인프라 확장을 통해 한국과의 협력을 강화합니다. 18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열린 'Imec 테크놀로지 포럼 코리아(ITF Korea)'에서 루크 반 덴 호브(Luc Van den hove) 아이멕 회장 겸 CEO는 "반도체 산업에서 국가 간 협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한국과의 협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ITF 코리아는 2016년 이후 9년 만에 한국에서 개최 됐는데요. 반도체 연구개발(R&D) 전문가와 업계 리더들이 모여 최신 반도체 기술 현황을 공유하고, 차세대 반도체 기술의 방향성과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입니다. 아이멕은 이번 행사에서 한국 나노종합기술원(NNFC)과 협력각서(MOU)를 체결하고, 향후 5년간 한국 인턴 연구원들을 벨기에 본사로 파견하는 인턴십 프로그램을 공식화했습니다.

아이멕은 반도체 연구 인프라 구축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유럽연합(EU)의 '유럽 칩스 액트(European Chips Act)' 지원을 받아 약 250억 유로(약 3조6000억원)를 투자해 연구 시설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올해 말에는 '팹4'라는 새로운 연구 시설을 건설해, 기존 연구소와 연결된 자동화된 첨단 연구 환경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ASML의 최신 하이NA EUV(극자외선) 장비를 활용한 차세대 반도체 연구를 가속화할 예정입니다.

아이멕은 AI, 자율주행, 의료 반도체 기술 개발에도 적극 나섭니다. 반 덴 호브 회장은 "AI 애플리케이션에서 고성능 반도체 패키징 기술이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며 "첨단 3D 패키징 기술을 활용해 반도체 성능을 극대화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자율주행 자동차 산업에서도 반도체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그는 "아이멕은 자동차 업계를 위한 '오토모티브 칩렛(Automotive Chiplet)'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자동차 제조사 및 부품사들과 협력해 반도체 기술 개발을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에서 열린 NRD-K 설비반입식에서 기념사를 진행한 전영현 부회장 [ⓒ삼성전자]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에서 열린 NRD-K 설비반입식에서 기념사를 진행한 전영현 부회장 [ⓒ삼성전자]


삼성전자, 이사회에 반도체 전문가 보강…전영현·송재혁·이혁재 선임

[배태용기자] 삼성전자가 사내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에 반도체 전문가를 대거 보강합니다. 반도체 기술 초격차를 실현하고, 주력 사업인 반도체 부문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포석입니다. 삼성전자는 18일 이사회를 열고 제56기 정기 주주총회 안건을 확정했습니다. 주주총회는 다음 달 19일 경기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립니다. 이번 주총에서는 ▲이사 선임 ▲재무제표 승인 ▲이사 보수한도 승인 등의 안건이 다뤄진다. 특히 신규 사내이사로 전영현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장(부회장)과 송재혁 DS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반도체연구소장(사장)이 내정됐습니다.

전 부회장은 현재 DS부문장, 메모리사업부장, 삼성미래기술연구원(SAIT) 원장 등 3개 핵심 직책을 맡고 있습니다. 메모리 사업뿐 아니라 반도체 R&D 전반을 총괄하며 기술 경쟁력 강화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송 사장은 삼성전자의 반도체 연구개발을 이끄는 핵심 인물입니다. 반도체연구소를 책임지며 미세공정, 첨단 패키징 등 반도체 기술 혁신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사회에 합류하는 사외이사 역시 반도체 전문가입니다. 이혁재 서울대 교수가 새롭게 선임되면서 이사회 내 반도체 전문가만 3명이 포진하게 됐습니다. 이 교수는 서울대 시스템반도체 산업진흥센터장, 인공지능반도체 대학원 사업단장, 한국공학한림원 반도체특별위원회 공동위원장 등을 맡고 있으며, 반도체 설계·공정·패키징 등 전반에 대한 전문성을 갖췄습니다.


젠슨황의 SK AI 서밋 인터뷰 영상.
젠슨황의 SK AI 서밋 인터뷰 영상.


전영현, '1a 재설계' HBM3E 들고 美 엔비디아 찾아…관건은 '발열'

[배태용기자] 삼성전자가 최근 엔비디아에 제안한 HBM3E(5세대 고대역폭 메모리)가 기존 1a(10나노급 D램 4세대 공정) 나노 공정 기반 제품에서 발열 문제를 개선한 '개선판'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HBM3E는 AI 반도체 시장에서 필수적인 메모리 제품으로 자리 잡고 있지만, 고성능 연산이 요구되는 만큼 발열 관리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기존에 사용해 왔던 1a 나노 공정을 유지하면서도 회로 패턴 최적화, 소재 변경 등을 통해 발열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이번 개선판이 엔비디아의 테스트를 통과할 경우, 삼성전자의 HBM 시장 반등 여부가 판가름 날 전망입니다.

18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전영현 부회장은 최근, 이 같은 개선품을 들고 엔비디아 본사로 직접 찾아가 고위 관계자와 미팅했던 것으로 파악됩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지난달 CES 2025에서 AI 반도체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삼성전자는 기존 설계 방식을 바꿔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발언은 HBM 공급업체들에게도 의미심장한 메시지로 해석된다. 엔비디아가 AI 반도체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메모리 업계에 더 높은 수준의 HBM 기술을 요구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현재 삼성전자는 HBM3E 생산에 있어 1a 공정을, SK하이닉스는 1b 공정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1a, 1b 공정은 반도체 미세 공정을 구분하는 기술적 단계입니다. 1a는 4세대 10나노급 D램 공정으로, 삼성전자가 기존 HBM3E를 생산할 때 적용한 방식입니다. 반면, SK하이닉스는 HBM3E부터 1b(5세대 10나노급) 공정을 적용해 생산하고 있습니다. 1b 공정은 미세 공정 난도가 높지만, 전력 효율과 성능 면에서 개선된 것으로 평가받습니다.

삼성전자는 당초 1b 공정을 건너뛰고, 차세대 HBM4에서 1c 공정을 적용하는 전략을 계획해 왔습니다. 하지만 HBM3E 시장에서의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자, 1a 기반의 개선형 HBM3E를 새롭게 개발해 엔비디아에 제안한 것으로 보입니다. 즉, 삼성전자가 엔비디아에 제시한 제품은 1b 공정을 도입한 것이 아니라, 기존 1a 공정에서 미세 회로 설계를 변경하고, 패턴 최적화 및 소재를 개선해 발열 문제를 잡는 방향으로 설계된 제품입니다.


이찬희 삼성 준감위원장이 18일 서울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열린 정례회의를 앞두고 기자들과 만나 의견을 밝히는 모습.
이찬희 삼성 준감위원장이 18일 서울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열린 정례회의를 앞두고 기자들과 만나 의견을 밝히는 모습.


이재용 등기이사 불발에도… 삼성 준감위원장 "삼성 목소리 청취 필요, 책임경영 조언"

[옥송이기자] 삼성전자에 '쇄신' 목소리를 내왔던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이 '책임경영'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나섰습니다. 최근 검찰이 이재용 회장에 대해 상고를 결정했다. 사법리스크 지속으로 등기이사 복귀가 불발하게 됐지만, 이 회장이 여러 장애물을 딛고 삼성을 위해 나서야 한다고 강조한 것입니다.

이찬희 삼성 준감위원장은 18일 오후 서울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열린 정례회의를 앞두고 기자들과 만나, 이재용 회장의 등기이사 불발에 대한 의견을 밝혔습니다. 이 위원장은 꾸준히 이 회장의 등기임원 복귀 및 혁신적인 지배구조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혀온 바 있습니다. 이 위원장은 "투자자들과의 관계나 사법리스크 등 여러 장애물이 있어, 신중한 고민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제가 등기임원 복귀를 통한 책임경영을 조언드리는 이유는 삼성에 대한 많은 의견을 전해 들을 수 있는 창구가 필요해서"라고 말했습니다.

이재용 회장의 등기임원 복귀 여부에 대해선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였다. 내부에서도 이 회장이 리더십을 발휘하길 원하는 목소리가 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그는 "이러한 의견을 전달하는 차원에서 등기임원 복귀를 말씀드린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검찰의 대법원 상고에 대해서는 쓴소리를 냈습니다. 이 위원장은 "검찰도 고민을 했겠으나, 때로는 국가와 국민을 위해 용기 있는 선택을 했어야 한다"면서 아쉬움을 드러냈습니다. 아울러 그는 지난해부터 불거진 '삼성전자 위기론'을 두고는 "대내외적으로 이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총의가 모아지고 있다며, 어떻게 해결할지가 관건이다. 잘 극복되리라 믿는다"라고 전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