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IT

개인정보 침해 논란 '딥시크', 한 발 물러났지만 여전한 우려

[ⓒAP=연합뉴스]
[ⓒAP=연합뉴스]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딥시크가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논란 속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일부 개정했다.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딥시크는 지난 14일(현지시간) 개정된 방침을 통해 기존에 수집하던 개인정보 항목 중 '이용자 키보드 입력 패턴과 리듬'을 제외했다.

앞서, 딥시크는 ▲장치 모델 ▲운영체제 ▲키보드 입력패턴‧리듬 ▲IP 주소 ▲시스템 언어 ▲성능 로그 ▲쿠키 등을 수집한다고 밝혔다. 키보드 입력패턴‧리듬 등까지 수집하는 건 다른 AI 서비스와 비교해도 광범위한 범위에 속한다. 개별 사용자 입력속도, 압력, 간격 등을 분석해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민감정보에 해당할 소지가 크다는 지적이다.

수집한 개인정보를 중국 내 서버에 보관하는 정책은 유지된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특정 국가로 개인정보를 이전하기 위한 보호장치를 사용하겠다는 단서 조항이 추가됐다. 아울러, 딥시크는 유럽경제지역(EEA) 전역과 영국, 스위스 등 유럽 국가에 대한 추가 약관을 마련했으나 한국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앞서,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이하 개인정보위)는 지난달 31일 딥시크 본사에 개인정보 등 데이터 수집·처리 관련 핵심 사항을 다수 채널로 공식 질의했다. 개인정보위는 질의 답변과 조사 결과가 나오지 않은 만큼, 서비스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한편, 경찰과 검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법무부, 외교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 통일부, 농림축산식품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등 국내 주요 정부부처·기관은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수출입은행과 한국주택금융공사를 비롯해 KB국민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토스뱅크, 케이뱅크 등 금융권에서도 이러한 움직임에 동참했다. 서울대, MBC, 카카오 등에 이르기까지, 딥시크 접속 차단은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다.

※ 알림 ※

2025년 창간 20주년을 맞은 디지털데일리는 <AX발전포럼>을 출범하고, 각 분야 전문가들과 AI 산업 발전을 위한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합니다. 최형두·조인철·이해민 의원실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행정안전부, 공정거래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등 유관부처와 산업계, 학계 전문가들이 참여해 현 상황을 진단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합니다. AX발전포럼 출범식 및 정책토론회는 2월19일 오후 2시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딥시크 쇼크: 2025 한국 골든타임 확보 위한 정책 제언'을 주제로 진행됩니다. 많은 분들의 관심과 성원을 바랍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