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나연기자]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 등장에 대해 “후발 주자가 선두 업체를 비교적 작은 규모 투자로도 추격하는 게 가능함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최수연 대표는 7일 열린 2024년 4분기 및 연간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 이후 진행된 질의응답에서 “네이버도 선두 업체와 기술 격차가 벌어지지 않도록 멀티 모델이나 출원 능력 등의 강화에 전념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다양한 비용 효율화 방안도 지속해서 모색할 계획이며 현재 네이버 역시 효율적이라는 점을 발견 중”이라고 덧붙였다.
글로벌 빅테크(거대 기술 기업)들이 무제한으로 AI 성능을 확장하며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전략을 취하는 가운데, 네이버는 자체 거대언어모델(LLM) ‘하이퍼클로바X’ 기술을 바탕으로 네이버 서비스 최적화에 집중하고 있다.
빅테크 등 외부 LLM과의 협업 가능성에 대해서는 “이 가능성도 열어두고 계속해서 대화를 진행 중에 있다”고 답했다.
이와 함께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AI 시장 속 네이버가 지향하는 서비스 경쟁 속도가 더 빨라질 것이란 전망도 내놨다. 최 대표는 “성능에 차이가 없는 여러 모델을 선택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오히려 네이버와 같은 AI를 활용한 서비스 경쟁이 더 본격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 대표는 “네이버는 양질의 데이터나 AI와 접목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버티컬 플랫폼을 가장 많이 소유한 인터넷 플랫폼 중 하나”라며 “이런 환경 변화가 우리 사업 전개 속도를 더욱 올릴 것이며 비용 효율적인 면에서도 이점을 누릴 것으로 본다”라고 내다봤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KT스카이라이프, 지난해 영업손실 11억원 …"올해 영업익 개선 전망"
2025-02-07 11:23:01SKT·포스텍, AI로 스마트폰 안테나 전송 품질 성능 높인다
2025-02-06 18:07:21[LGU+컨콜] AI로 꿩먹고 알먹고…저수익 사업은 과감히 아웃(종합)
2025-02-06 17:34:21[DD퇴근길] 딥시크 파장, 韓 대응책은?…"정부 파격 지원책 필요"
2025-02-06 16:49:11[LGU+컨콜] "올해 매출 2% 이상 성장"…저수익 사업 정리 속도
2025-02-06 16:34:53[IT클로즈업] 이젠 성우도 IP... ‘목소리’에 움직이는 게임시장
2025-02-07 13:58:56日 열도 휩쓴 네이버웹툰 ‘입학용병’, 도쿄서 첫 팝업
2025-02-07 13:58:03[컨콜] 딥시크가 했으니 우리도 충분…네이버, 온-서비스 AI 원년 강조(종합)
2025-02-07 12:00:19액션스퀘어, 넥써쓰로 새단장… 장현국 대표 “트럼프 취임이 기회”
2025-02-07 11:24:31[컨콜]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자사 서비스 최적화 집중"
2025-02-07 11:21:42[컨콜] 네이버 최수연 “딥시크, 후발 주자 가능성 입증”
2025-02-07 10:4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