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나연기자] 네이버가 지난해 출범을 목표로 한 포스트(Post) 뉴스제휴평가위원회가 해를 넘긴 현재까지도 논의 결과를 구체화하지 못했다. 작년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 속에서 조기 대선 가능성까지 점쳐지는 가운데, 가짜뉴스 확산 논란 등이 맞물리면서 뉴스 정책 재정비에 더 신중해진 모습이다.
3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네이버 뉴스 입점 심사를 위한 제평위 2.0 운영 방식과 출범 시점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네이버 관계자는 “(제평위 활동을 위한) 회의는 꾸준히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네이버는 작년 1월 외부 전문가로 이뤄진 뉴스혁신포럼을 출범하고, 제평위 재개를 위한 논의를 이어왔다.
2000년 전후 출시된 포털뉴스 서비스는 언론사 제휴를 통해 기사를 제공받고, 언론사 구독 혹은 추천 서비스를 통해 이용자에게 기사가 노출되는 구조다. 민간 자율기구인 제평위는 2015년 10월 공식 출범해 네이버와 카카오 다음(Daum) 포털뉴스 입점 심사와 제재를 맡아왔다.
하지만 오랜 기간 제평위 위원 구성·운영·심사과정에 대한 공정성 논란이 불거지며 정치적 편향성에 대한 지적이 잇따랐고, 제평위 사무국은 2023년 5월 제평위 운영을 중단했다.
포털 다음을 운영하는 카카오의 콘텐츠 사내독립기업(CIC)은 기존 제평위를 대체하기 위해 작년 11월 새로운 언론사 입점 절차를 발표했다. 이어 같은 해 12월 ‘지역’ 부문 언론사 입점 접수를 시작했다. 입점 여부는 올해 1분기 중 개별 공지된다.
카카오 관계자는 “추가 부문 모집은 현재 심사 중인 지역 카테고리 입점 절차가 끝난 뒤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탄핵정국 관련해 음모론 및 허위 보도들에 대한 문제의식이 높아지면서 정치권에서는 ‘포털 공정성’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지난달 인터넷 매체 스카이데일리 보도로 확산한 ‘중국인 간첩 체포 및 압송설’ 경우, 주한미군은 물론 미국 국방부까지 나서서 보도 내용이 사실이 아니라고 일축한 바 있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달 14일 국민의힘 미디어특별위원회와 김장겸 의원실이 주최한 ‘POST 제평위 시대의 포털뉴스 공정성 확보를 위한 정책세미나’에서 “포털이 독점에 가까운 지위를 갖고 언론 기사를 송출한다는 점에서 뉴스 제휴 시스템은 더 공정하고 더 중립적으로 운영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1월 번호이동 '50만선' 붕괴…"갤럭시S25 대기 수요"
2025-02-03 13:04:13"AI로 업무속도↑"…SKT, '에이닷 비즈' CBT 돌입
2025-02-03 10:47:24“AI시대, 5G 네트워크 과시할 기회”…美통신사, 새로운 먹거리는 [IT클로즈업]
2025-02-02 20:26:36[OTT레이더] 美 'OJ. 심슨 사건', 그날의 진실은?
2025-02-02 10:52:05[네트워크 통·장] 트럼프 2기, 광통신 투자 집중?…韓 수혜주는
2025-02-01 11:03:00카카오 정신아, 샘 올트먼 만난다…오픈AI와 협업 기대감 증폭
2025-02-03 15:35:16탄핵정국 변수에 셈법 복잡…네이버 제평위 부활 시점에 쏠린 눈
2025-02-03 13:47:28스마일게이트, 게임업계 3강 노린다... 신작 2종으로 가속 페달
2025-02-03 13:44:02"스파이 활동에서 보호할 것"...美텍사스, 中 AI 딥시크 금지 명령
2025-02-03 10:55:25[DD's톡] 中 딥시크 쇼크…투자비 걸림돌 네이버·카카오에 호재될까
2025-02-02 17:1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