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건한 기자] 전세계 2억5000만명 이상이 사용하는 오픈AI의 챗GPT 서비스가 12일 오전부터 접속불가 상태다. 오픈AI 엑스(X) 공식 계정을 통해 ‘정전’을 원인으로 밝히며 서비스 복구에 나섰다.
12일 오전, 챗GPT 웹 버전에 접속하면 “현재 챗GPT를 사용할 수 없다. 식별된 문제를 복구하기 위해 노력 중(ChatGPT is currently unavailable. Status: Identified - We have identified the issue and are working to roll out a fix.)”이라는 짤막한 메시지가 출력될 뿐이다. 앱 버전의 경우 서비스 인터페이스는 정삭 출력되지만, 질문을 입력할 경우 “흠...뭔가 잘못된 것 같습니다”라는 문구만 반복 출력되며 역시 어떤 답도 받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이런 현상은 오픈AI가 밝힌 대로 정전에 의해 챗GPT 서비스를 가동하기 위한 주요 서버가 모두 셧다운 된 결과로 보인다. 정전이 발생한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최근 오픈AI의 상황을 고려할 때 동영상 생성 AI 서비스인 ‘소라(Sora)’를 정상 가동하기 위한 전력 자원을 무리하게 투입한 부작용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소라는 텍스트 입력만으로 최대 20초 분량의 실제적 영상을 만들 수 있는 서비스로, 올해 2월 초기 버전 공개 후 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받았다. 지난 10일 정식 버전을 출시했으나, 직후 바로 엄청난 수의 접속자가 몰려 오픈AI는 신규 계정 생성을 중단해야 했다. 이 또한 신속한 복구를 약속했으나 현재까지 계정 생성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대표 서비스인 챗GPT까지 중단되며 오픈AI의 서비스 운영의 안정성 및 위기관리 능력이 도마 위에 오르게 됐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재명 1호 공약 실현한다…민주당 정보통신위원회, LGU+ 평촌메가센터 방문
2025-05-13 13:47:25SKT 1분기 설비투자, 3사 중 가장 적어…“정보보호 투자 소홀과 무관”
2025-05-13 11:55:30통신3사 ‘갤럭시S25 엣지’ 사전예약 실시…“SKT는 기기변경만”
2025-05-13 10:41:03LGU+·토스 협업, AI ‘익시’ 브랜드 행사에 180만명 참가
2025-05-13 09:41:49통신3사, 비용통제로 영업익 사수…“AI 수익 가시화 시동”
2025-05-12 18:54:16AI 사라진 SKT 컨콜, 2분기 어쩌나…“본원적 경쟁력 강화 집중”(종합)
2025-05-12 18:49:23넥슨게임즈, 1분기 적자전환…"신작 개발로 인건비 증가"
2025-05-13 17:44:51게임위, "1~4월 불법게임물 행정조치 전년比 2배 이상 증가"
2025-05-13 17:22:26신작 부재·소송 비용 탓에…웹젠, 1분기 영업익 50.5% ‘급감’
2025-05-13 17:15:07[DD퇴근길] 넥슨 또 날았다…던파·메이플 흥행, 1Q 매출 1조 돌파
2025-05-13 17:01:44넥슨 올 1분기도 함박웃음…핵심 게임+IP 성장 전략=‘성공적’(종합)
2025-05-13 16:4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