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가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을 위한 공공클라우드 활용·개선 방안 연구에 나선다.
출범 1년째를 맞는 디지털플랫폼정부는 출범 이후 정부의 주요 시스템 70%를 클라우드로 전환하겠다며 사업을 추진해 왔다.
하지만 정부 및 공공기관 등이 여전히 제각각 클라우드 사업을 전개하고 있어 모든 것이 연결되는 정부를 위한 걸림돌인 부처간 칸막이가 여전하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이에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부처간 인프라 수준의 연계방안을 벗어나 마이크로 아키텍처까지 고려한 새로운 로드맵을 이번 사업을 통해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을 위한 공공클라우드 활용·개선 방안 연구' 용역 사업을 발주하고 사업자 선정에 나섰다. 이번 사업의 사업기간은 올해 말까지다.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을 위해 정부는 민간클라우드 우선 적용과 클라우드 네이티브·SaaS 적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하지만 공공 클라우드(정부 G-클라우드, 지자체 자체구축 클라우드 등)를 혁신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한 상황이다.
이에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민간클라우드의 MSA, 컨테이너, CI/CD, 데브옵스(DevOps) 등 클라우드 네이티브 관련 새로운 기술과 혁신을 공공 클라우드에 연계해 정부기관·민간 간 협업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데이터 및 서비스 공유를 원활하게 해 향후 디지털플랫폼정부의 핵심인프라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공공클라우드(정부 G-클라우드, 지자체 자체 클라우드) 이용현황 및 발전 전략 분석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 기반 공공+민간 클라우드 구성 방안 ▲산학연 전문가 포럼 구성·운영 및 유관 TF 협업 방안 등을 마련한다.
또, 공공+민간 클라우드 정보자원 통합관리 체계(CMP) 및 민간클라우드 SaaS 연계 활용 방안과 함께 민간 클라우드와 워크로드 분산 환경에서 기존 공공 클라우드 정보자원을 어떻게 활용할지 연구에 나선다.
여기에 공공+민간 클라우드 기반에서 기존 시스템을 클라우드 네이티브로 전환하는 전략을 수립하는 한편 민간 클라우드 활용을 위한 정보시스템 등급분류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디플정 측은 업무특성, 보안등급, 인프라 수준 등을 고려해 기준별 요구사항 등을 정의하겠다는 계획이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넷플릭스 1분기 27%↑ 영업익 4조원…韓 ‘폭싹속았수다’ 흥행 언급도
2025-04-18 16:24:08[AI시대, ICT 정책은①] ‘정부주도→민간주도’…“인프라 위한 해외자본 유치 필수” 의견도
2025-04-18 15:28:56우리은행, 18일 알뜰폰 서비스 정식 출시…청소년 셀프 개통으로 차별화
2025-04-18 13:29:18과기정통AI부 설치법, 당론 채택될까…ICT 거버넌스 개편 논의 본궤도
2025-04-18 13:29:11SK브로드밴드, K리그2 생중계로 지역밀착형 미디어 역할 강화
2025-04-18 09:16:40“무료 체험 뒤 몰래 결제?”…다크패턴, 근절 방안 마련한다
2025-04-18 16:23:01위믹스, 1차 바이백 중간경과 보고… 해킹 탈취 물량 바이백 완료
2025-04-18 14:27:08전동킥보드 이어 공항버스도 정리…티맵모빌리티, 체질개선 속도
2025-04-18 14:12:28네이버-컬리, 이커머스 분야서 전방위 협업…“시너지 확대 기대”
2025-04-18 11:11:27무신사 뷰티, '주술회전' 소환…주미소 컬래버 마스크 출시
2025-04-18 09:16:57"공개일 유출 의혹에 미정이라더니"…디즈니+, '나인퍼즐' 5월21일 공개
2025-04-17 18: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