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통신*방송

최민희 “SKT, 해킹 한달전 이미 비정상 트래픽 감지”

SKT "확인결과, 해당 기간 이상징후 없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최민희 위원장이 19일 경기도 성남시 네이버 1784 사옥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최민희 위원장이 19일 경기도 성남시 네이버 1784 사옥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디지털데일리 강소현기자] SK텔레콤에서 초유의 해킹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사고 발생 최소 한달 전 이미 이상 트래픽을 감지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민희 의원(더불어민주당)은 8일 오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가 진행한 SK텔레콤 청문회에서 “SK텔레콤에서 일찍이 비정상 트래픽이 발생했으나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구체적인 제보를 받았다”라며 이 같이 밝혔다.

최 의원에 따르면, SK텔레콤 내부 인증서버에선 3월12일부터 20일 사이 비정상 트래픽이 발생했으나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이는 대외적으로 알려진 SK텔레콤의 사고인지 시점보다 최소 한달 이상 앞선 시점이다.

당초 SK텔레콤은 4월18일 트래픽 이상 징후를 처음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음날 SK텔레콤 성수 사옥에 배치된 HSS에서 대규모 데이터 유출 정황을 확인한 뒤, 22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사고 사실을 신고하면서 외부에도 알려졌다.

이에 최 위원장은 “3월12일에서 20일 사이 SK텔레콤의 인증서버에서 트래픽이 과부화됐다고 한다. 그렇다면 기업을 어떻게 해야하냐”라고 물었고,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은 “사실이라면 조사를 하고 보안조치가 이뤄졌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보고받지 못했다는 것은 어디선가 보고를 안했거나 은폐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라고 밝힌 최 위원장은 SK텔레콤에도 “사실이면 귀책 사유 아니냐”라고 물었고, 이에 대해 류정환 SK텔레콤 네트워크 인프라센터장은 “확인해보겠다”고 답했다.

한편, SK텔레콤은 확인 결과 해당 기간 트래픽 이상 징후는 없었다고 밝혔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