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 사진부터 시계방향으로 엔씨소프트, 넷마블, 넥슨
[디지털데일리 왕진화기자] 지난해 매출 합산 8조를 기록했던 국내 게임사 3N(넷마블·넥슨·엔씨소프트)의 2021년 1분기 실적이 이르면 내달 발표되는 가운데, 연봉 인상 및 기존 게임의 성과 등으로 각 사의 희비가 엇갈릴 전망이다.
앞서 지난해 11월 출시한 '세븐나이츠2'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는 넷마블의 실적은 '맑음', 2분기 이후에 주요 신작 발표가 예정된 엔씨소프트의 실적은 일시적으로 '흐림'이 예보돼 있다. 넥슨의 경우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점쳐진다.
16일 증권가에 따르면 넷마블의 올해 1분기 매출은 6300억원대에서 6400억원대로 전년대비 3.2% 수준, 영업이익은 760억원에서 865억원으로 전년대비 4.8% 수준 오를 전망이다.
지난해 11월 출시됐던 세븐나이츠2는 지난해 4분기에 이어 올해 1분기 실적을 끌어올릴 주요 게임으로 꼽힌다. 자체 지식재산권(IP)을 기반으로 제작된 게임이기 때문에 로열티 지급 부분에서 지출을 아낄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김동희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세븐나이츠2에 따른 매출 증가로 매출 대비 지급수수료 비율이 감소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성종화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본사 및 개발 자회사 인력 중심 인당 800만원, 연간 환산 400억원 등의 인건비와 신사옥 이전 관련 입주비용 등 일회성 지출을 반영하게 되면 시장 컨센서스 865억원에는 소폭 미달할 수 있을 것으로도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반면 엔씨소프트는 1분기 매출 5500억원대에서 5600억원대, 영업이익 1100억원대에서 1500억원대를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각각 23%, 37% 줄어들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신작 모바일 게임 '트릭스터M'의 출시 연기를 비롯, '리니지2M'의 일본 및 대만 출시가 3월 말이었던 점 등은 1분기 실적에 제한적인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엔씨소프트도 임직원 인센티브와 연봉 인상, 포괄임금제로 인한 일회성 인건비 지출 등의 이슈가 있다. 다만 넷마블보다 더 주춤할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는 '리니지 형제'의 부진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