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 폼팩터 통한 성장 동력 확보 과제…4K OLED·120Hz 등 필수 기술 대두
[디지털데일리 이안나 기자] “펜처럼 생긴 걸 쭉 늘리면 화면이 나오는 제품은 공상과학 영화에서나 볼 수 있습니다. 그런 제품을 만든다는 건 과거에 우리가 달에 갈 수 있을지 묻는 것보다 더 가능성이 낮은 얘기입니다.”
4일 이충훈 유비리서치 대표는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0년 하반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결산 세미나에서 이같이 말했다. 상소문처럼 생긴 스마트폰은 만들어질 수 없다는 의미다. 배터리 넣을 공간이 부족하고 부품들이 만들어내는 발열을 감당할 수 없다는 이유다.
‘상소문폰’은 상상이지만 스마트폰을 접거나 펼치고 돌돌 마는 모습은 현실이다. 기존 바(Bar) 형태 스마트폰 시장이 수년째 정체기에 들어간 가운데 폼팩터 변화를 통한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가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들 핵심 과제로 떠올랐다.
실제 접는(Foldable, 폴더블) OLED 출하량은 급성장할 전망이다. 유비리서치는 삼성디스플레이 폴더블 OLED 출하량은 2025년 연평균 80% 수준으로 성장해 5900만대, BOE는 같은 기간 연평균 31% 성장률로 280만대가 될 것을 예상했다.
지난해 폴더블폰이 등장했다. 내년엔 돌돌 마는(Rollable, 롤러블)폰이 출시된다.
처음 폴더블폰이 등장했을 땐 안으로 접는 삼성전자 인폴딩 방식과 밖으로 접는 화웨이 아웃폴딩 방식이 대치됐다. 화웨이가 양산 준비 중인 3번째 폴더블폰 ‘메이트X2’는 인폴딩 방식이다. 삼성전자가 택한 방식으로 따라온 셈이다. 아웃폴딩 폴더블폰은 화면을 열 때 검지나 중지로 열게 되는데 엄지 사용에 특화된 사용법에서 불편함이 따라온다.
이 대표는 “아웃폴딩 방식은 화면 스크래치에 취약하고 펜을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 외에 인체구조상 엄지를 주로 사용하던 사람들에게 적합하지 않아 성공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DD퇴근길] 카카오엔터 매물로?…노조 반발에 카카오 대답은
2025-04-09 17:07:20조기대선 통신정책 향방은?...단통법 후속조치·통신비 인하 ‘촉각’
2025-04-09 15:42:48딜라이브, 지자체 행사사업 BM 키운다…전남 진도 지역행사 수주
2025-04-09 10:35:13SKT, AI 스타트업 양성 프로그램 실시…“성장 기업과 협력 기회 모색”
2025-04-09 09:44:51[DD퇴근길] '갤럭시S25' 통했나?…삼성전자, 1Q 어닝서프라이즈
2025-04-08 17:24:16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 이용자 초청 ‘프리뷰 데이’ 24일 개최
2025-04-09 17:07:34[DD퇴근길] 카카오엔터 매물로?…노조 반발에 카카오 대답은
2025-04-09 17:07:20네이버플러스 멤버십 만족률, 쿠팡·컬리 앞질렀다…1위 비결은?
2025-04-09 16:07:18스마일게이트, ‘2025 로스트아크 아트 공모전’ 응모 시작… 총 상금 5500만원
2025-04-09 15:33:30카카오엔터 매각한다는 카카오, SM엔터까지? [IT클로즈업]
2025-04-09 11:4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