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채수웅 기자] 정보통신기술(ICT) 수출 감소가 지속되고 있다. 그동안 ICT 수출 증가를 견인했던 삼총사 휴대폰, 반도체, 디스플레의 부진이 장기화되고 있다.
12일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에 따르면 5월 ICT 수출은 131.3억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9.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8개월 연속 전년 동월대비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5월 수출로는 2012년(129.3억달러) 이후 최저치이다. 2013년과 비교하면 14.4%나 감소한 수치다. 1~5월 누적 수출액도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11.4% 감소한 629.3억달러에 머물렀다.
ICT 수출이 후퇴하고 있는 이유는 반도체, 휴대폰, 디스플레이 등 ICT 주요 품목이 동반부진에 빠졌기 때문이다.
5월 휴대폰 수출은 22.9억달러로 16.6% 감소했고 반도체도 4.4% 감소한 48.9억달러, 디스플레이는 24.7% 빠진 22억달러를 기록했다.
휴대폰의 경우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부진했다. 2~3월 상승세로 돌아섰지만 2개월 연속 부진에 빠졌다. 특히 부분품 수출 하락 영향이 컸다. 디스플레이도 수요 정체 및 단가 하락 등으로 수출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수출은 올해 들어 두자릿수 감소가 이어지고 있다.
반도체는 단가 하락이 심화되며 부진이 장기화되고 있다. 다만, 메모리 MCP와 낸드 플래시 등의 수출이 늘어나며 감소율은 둔화되는 모양새다.
지역별로는 최대 수출국인 중국에서 부진이 장기화되고 있다. 대 중국 ICT 수출은 23.5억달러로 15.4% 감소했다. 휴대폰(3.2억달러 43.9%↓), 반도체(6.5억달러 21.5%↓), 디스플레이(1.5억달러 26.1%↓) 등 주요 품목 모두 부진에 빠졌다. 베트남(4.2억달러, 101.9%↑)을 중심으로 아세안(11.1억달러, 11.1%↑), 일본(8.4억달러, 12.6%↑), EU(4.6억달러, 2.5%↑)에서는 증가했지만 중국 부진을 메우지 못했다.
한편, 5월 수입은 70.5억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2.4% 늘어났다. 휴대폰과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반도체, 컴퓨터 및 주변기기, 디지털TV 등 대부분 품목이 늘어났다.
ICT 수지는 60.8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6개월만에 60억달러대를 회복했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참여연대 "불법 영업한 전광훈 알뜰폰, 사업자등록 취소해야"
2025-04-15 18:10:01과방위원 만난 LGU+ 홍범식 “AI 국가대항전, 국회-민간 실질 협력 필요”
2025-04-15 11:00:00SKT·SK텔링크, 글로벌 최초 '기내 와이파이 자동 로밍 서비스' 출시
2025-04-15 10:36:49GS샵 “1분기 여행상품 상담 주문 20% 증가”…가정의 달 수요 선점 나선다
2025-04-15 10:21:50[일문일답] CJ ENM "엠넷 30주년, 더 넓은 세계로 간다”…글로벌 전략은?
2025-04-15 19:20:07CJ ENM-애플TV+ 손잡는다…글로벌 음악 경연 프로그램 제작
2025-04-15 18:46:26CJ ENM·엠넷, 올해 30주년…‘글로벌 삼각 전략’ 본격 가동
2025-04-15 18:08:58"男 신병3·女 나는 솔로"…ENA, '젊은 채널' 이미지 굳힌다
2025-04-15 17:27:39[DD퇴근길] "세금 덜 내려 매출 축소?"…구글코리아, 법인세 회피 논란
2025-04-15 17:02:13기안84·진·지예은 "눈물나게 힘들어서 절친됐다" [일문일답]
2025-04-15 16:3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