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한주엽기자] 오는 2017년에는 반도체 출하량이 처음으로 1조개를 돌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1일 시장조사업체 IC인사이츠는 오는 2017년 반도체 출하량이 1조245억개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발광다이오드(LED)와 같은 광전자(O), 센서·엑추에이터(S), 모스펫 등 개별반도체(D)를 지칭하는 O-S-D를 모두 포함한 수치다. 지난 1978년 반도체 출하량은 326억개에 불과했으나 39년간 연평균 9.2%의 성장세를 지속해 2017년에는 출하량이 1조개를 돌파할 것이라고 IC인사이츠는 분석했다.
반도체 출하량은 세계 경제 상황과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다. 연간 최대 성장률을 보였던 해는 지난 1984년이다. 전년 대비 무려 34%나 출하량이 늘었다. 반면 닷컴버블이 꺼지던 2001년에는 전년 대비 출하량이 19%나 감소했다.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로 전 세계가 허덕이던 2008년과 2009년에도 반도체 출하량은 마이너스 성장을 했었다. 그러나 2010년에는 무려 25%나 출하량을 늘리며 반등에 성공했다.
IC인사이츠는 2009~2014년까지 반도체 출하량의 연평균 성장률은 7.6%로 지난 39년 평균치를 밑돌았다고 추정했다. 그러나 2014~2019년의 연평균 출하 성장률은 8.2%로 과거 5년 평균치를 웃돌 전망이다. 이는 전자제품의 출하 확대에 따른 것이라고 IC인사이츠는 설명했다.
한편 전체 반도체 시장에서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와 O-S-D의 출하 비중은 대략 2.5대 7.5 수준을 꾸준하게 유지해오고 있다. 1978년 O-S-D 디바이스의 출하 비중은 79%였다. 40년이 지난 2017년 이 비중은 74%로 소폭 줄어들 것이라고 추정됐다. IC인사이츠는 “IC에 다양한 기능이 통합되면서 시스템당 탑재 IC의 수가 줄어들고 있지만 오히려 전체 비중은 늘어난 점은 흥미로운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한주엽 기자>powerusr@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알뜰폰 증가률 1%대 회복…1만원 5G 요금제 효과 가시화?
2025-05-16 17:40:35[현장] 서울 성수서 셀럽 사로잡은 ‘칼 라거펠트’ 철학…“한국 사랑 돋보이네”
2025-05-16 14:59:11SKT, 이번 주말 약 90만개 유심 확보한다…“QR 유심재설정 준비 중”
2025-05-16 11:09:11“엄마아빠, 저예요” LGU+, AI로 순직소방관 목소리 복원
2025-05-16 09:25:30미디어산업 진흥 ‘마지막 기회’…“‘청와대 미디어수석’ 신설해야”
2025-05-15 17:43:18이해진 네이버, 첫 해외 일정으로 실리콘밸리行…글로벌 AI 투자 본격 시동
2025-05-16 18:43:15"경찰도 전기자전거 구독"…스왑, 서울경찰청 시범 공급
2025-05-16 18:42:14NOL 인터파크투어, 항공권 취소·환불 수수료 무료 프로모션 진행
2025-05-16 17:32:09[DD퇴근길] "구글에 지도 반출하면 생태계 무너질 것"…스타트업, 한 목소리
2025-05-16 17:22:59아디다스 고객 정보 유출…"2024년 이전 고객센터 문의자 대상"
2025-05-16 17:22:14네이버, 디지털상공인 연합 기획전 진행…"소성공인과 동반 성장"
2025-05-16 16:5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