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수환기자] LG가 12일 ‘연구개발상’ 수상자 8명 발탁을 포함해 R&D 인재 46명을 임원급 연구‧전문위원으로 선임했다. 연구‧전문위원은 임원 수준의 보상과 대우를 받으며 자기 고유 분야에서 실제 연구개발 활동을 계속 수행할 수 있고 탁월한 성과를 낼 경우 ‘사장급’의 수석 연구‧전문위원으로도 승진이 가능하다.
LG는 12일 대전 LG화학 기술연구원에서 ‘연구개발성과보고회’를 개최하고 ‘LG연구개발상’ 수상팀 가운데 대상과 본상팀의 부장급 책임자 8명을 임원급 대우를 받는 연구위원으로, 차장급 책임자 5명을 부장급으로 각각 발탁했다.
▲구부리고 감고 매듭지을 수 있는 ‘케이블 배터리’를 세계 최초로 개발해 웨어러블 기기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LG화학 연구팀이 대상을 수상했고 책임자(김제영 부장, 42세)는 연구위원으로 승진했다.
또한 ▲세계 최고 수준(300W)의 ‘고출력 태양전지 모듈’을 개발한 LG전자팀 ▲세계에서 가장 얇고 가벼운 ‘곡면 플라스틱 OLED’를 개발한 LG디스플레이팀 ▲‘안티에이징 성분의 피부 흡수 촉진기술’로 오휘 등 화장품의 피부 노화 완화 기능을 향상시킨 LG생활건강팀 등의 개발 책임자들 부장급에서 연구위원으로 승진했다.
이날 구본무 LG 회장은 뛰어난 R&D 성과를 거둔 연구개발팀을 시상하고 “고객이 진정으로 원하는 상품을 만들어 내려면 독창적인 핵심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연구원 여러분 한 사람 한 사람이 시장선도의 출발이라는 자부심으로 임해 달라”고 당부했다.
구 회장은 또 “기술간, 산업간 융복합 현상이 많아지면서 계열사는 물론 외부와 함께 기술을 개발하는 경우가 더욱 증가하고 중요해질 것”이라며, “보다 넓은 시야로 열린 사고를 해 줄 것”을 강조했다.
구 회장은 이날 현장에 전시된 각 계열사의 핵심 기술을 일일이 살펴보고 R&D 전략 및 신기술 동향도 점검했다. 이번 연구개발성과보고회에는 강유식 LG경영개발원 부회장, 구본준 LG전자 부회장, 이상철 LG유플러스 부회장, 차석용 LG생활건강 부회장, 이희범 LG상사 부회장, 박진수 LG화학 부회장 등 계열사 최고경영진과 CTO, 연구소장 등 130여명이 참석했다.
한편, LG는 이날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화학, LG생활건강 등 계열사별로 연구‧전문위원 인사를 실시, 연구개발상 수상자를 포함한 R&D 및 전문직군 인재 46명을 연구‧전문위원으로 선임했다. LG전자가 27명, LG디스플레이가 10명, LG화학이 8명, LG생활건강이 1명이다.
연구위원의 경우 주력사업 분야의 선행상품 및 핵심 부품 개발 담당을 비롯해, 차세대 모바일, 전기차 배터리, 에너지 솔루션 등 미래성장 분야의 연구개발(R&D) 인재가 승진했다. 전문위원은 특허, 품질, 생산기술, IT 등의 분야에서 전문가 5명이 선임됐다.
LG전자는 디지털TV 칩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등 주력 사업 분야의 선행기술 개발 담당을 포함한 R&D 인재를 연구위원으로 신규 선임했다. 일본인 음향 전문가와 러시아연구소의 소프트웨어 전문가 등 외국인 두 명도 승진시켰다.
LG디스플레이는 TV 및 모바일용 OLED 분야와 차량용 디스플레이 전문가 등을 연구위원으로 선임했다. LG화학은 전기차, ESS(에너지저장장치)용 배터리팩 전문가를 비롯해 신사업인 OLED 조명 개발 분야 등의 R&D 인재를 신임 연구위원에 임명했다.
한편 LG의 ‘연구‧전문위원’ 제도는 R&D인력에 대한 성장 비전을 제시하고 핵심 기술 인재 육성을 위해 운영하고 있으며 총 규모는 올해 승진자를 포함해 약 320여명이다.
<이수환 기자>shulee@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재명 1호 공약 실현한다…민주당 정보통신위원회, LGU+ 평촌메가센터 방문
2025-05-13 13:47:25SKT 1분기 설비투자, 3사 중 가장 적어…“정보보호 투자 소홀과 무관”
2025-05-13 11:55:30통신3사 ‘갤럭시S25 엣지’ 사전예약 실시…“SKT는 기기변경만”
2025-05-13 10:41:03LGU+·토스 협업, AI ‘익시’ 브랜드 행사에 180만명 참가
2025-05-13 09:41:49통신3사, 비용통제로 영업익 사수…“AI 수익 가시화 시동”
2025-05-12 18:54:16AI 사라진 SKT 컨콜, 2분기 어쩌나…“본원적 경쟁력 강화 집중”(종합)
2025-05-12 18:49:23넥슨게임즈, 1분기 적자전환…"신작 개발로 인건비 증가"
2025-05-13 17:44:51게임위, "1~4월 불법게임물 행정조치 전년比 2배 이상 증가"
2025-05-13 17:22:26신작 부재·소송 비용 탓에…웹젠, 1분기 영업익 50.5% ‘급감’
2025-05-13 17:15:07[DD퇴근길] 넥슨 또 날았다…던파·메이플 흥행, 1Q 매출 1조 돌파
2025-05-13 17:01:44넥슨 올 1분기도 함박웃음…핵심 게임+IP 성장 전략=‘성공적’(종합)
2025-05-13 16:4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