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뉴스와인물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초대 이사장 “창의적 연구 지원, 노벨상에 근접”

- 최양희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초대 이사장

[디지털데일리 한주엽기자] 최양희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은 “창조적, 파괴적 아이디어를 가진 사람이 마음껏 연구할 수 있도록 길게 지원하는 한편, 시스템을 보완해 나간다면 노벨상에 근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달 출범하는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의 초대 이사장직을 맡게 된 최양희 서울대 교수는 14일 오전 삼성전자 서초 사옥에서 브리핑을 갖고 재단을 통해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겠다는 목표를 다졌다.

최 이사장은 “단일, 단합을 중시하는 우리 시스템으로는 창조적, 파괴적 아이디어가 나오기 힘들었고, 이 때문에 과학기술 분야에선 아직 노벨상 후보 명단에도 올라보지 못한 것이 현실”이라며 “과학 기술 연륜이 짧고 기초 과학에 대한 투자보다는 산업발전을 더 중요하게 여긴 것도 원인 가운데 하나”라고 지적했다.

이어 “재단에선 이런 문제를 감안해 연구경력이 짧거나 나이가 어려도 마음껏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애로사항이 있다면 시스템을 보완해 나가겠다”라며 “이런 시스템이 정착돼 연구자들의 창의성이 충분히 발휘된다면 노벨상에 근접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최 이사장은 “미래기술육성재단은 민간(삼성)이 주도해 만들었지만 일종의 공공성을 띤 연구재단”이라며 “삼성이 지원금을 대지만 재단은 자율성과 독립성을 갖고 운영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재단은 연구 결과물의 소유권을 연구자에게 주겠다는 계획이다. 그는 “이런 시스템이 정착되어야 좋은 결과물이 나올 수 있고, 국가에도 이익이다”라고 말했다.

최 이사장은 이날 ‘창조경제’는 창의적 생각으로부터 나온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창조경제를 실현하려면) 앞으로 갈 길이 멀지만, (이런 재단이 설립되는 것이) 과학하는 사람으로서 상당히 기쁘다”라고 말했다.

앞서 삼성은 미래과학기술을 육성하기 위해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을 설립한다고 13일 발표했다. 재단은 기초과학, 소재, ICT 융합 기술을 3대 중점 육성 분야로 지정했고, 삼성은 올해부터 10년간 이 재단에 총 1조5000억원을 출연키로 했다.

최양희 초대 이사장은 1955년생으로 경기고와 서울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카이스트 전자공학 석사 및 프랑스 ENST대 전산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정보통신표준연구센터장과 한국정보과학회장, 서울대 차세대융합기술원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포스데이터 사외이사와 한국산업융합회 부회장을 겸직하고 있다.

<한주엽 기자>powerusr@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