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기기

휴대폰 자급제 시행 초읽기…시큰둥한 통신사, 이유는?

[IT 전문 블로그 미디어=딜라이트닷넷]

[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휴대폰 자급제(블랙리스트 제도) 시행이 7일 앞으로 다가왔다. 오는 5월1일 시행한다. 휴대폰 자급제는 블랙리스트 제도 또는 휴대폰 유통 자율화 등으로 불려왔다. 방송통신위원회 수장이 바뀌면서 명칭을 새로 정했다.

이 제도는 통신사가 독점 관리하던 단말기 고유번호 국제 모바일 기기 식별코드(IMEI)를 개방형으로 바꾸는 것이 골자다. 이를 통해 통신사를 통해 구입해야만 했던 휴대폰을 통신사가 아닌 통로를 통해 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소비자의 선택권을 보장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방통위는 휴대폰 자급제로 휴대폰을 산 사람에게도 요금할인을 적용하라고 통신사에게 요청했다. 약관대로라면 방통위 요구가 정당하다. 그러나 자급제 시행 초읽기에 들어간 지금도 통신사가 해당 사안에 대해 가타부타 말이 없다. 방통위 요청은 강제는 아니지만 대부분 통신사가 수용한다. 그러나 이번은 다른 양상이다. 왜 일까.

통신사로는 휴대폰 자급제는 달갑지 않다. 통신사는 단말기를 무기로 사용자를 유인했다. 높은 출고가를 보조금과 요금할인으로 상쇄해주는 형태다. 국내 휴대폰 시장이 고가폰 위주로 형성된 것은 이런 영업 방식에 기인했다. 휴대폰 자급제가 활성화 되면 서비스만으로 승부해야 한다. 마케팅 수단이 줄어든다.

사실 마케팅적인 요소는 부수적이다. 통신사가 이 제도를 원치 않는 가장 큰 부분은 생존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지금껏 이동통신단말기는 통신사 또는 통신사 관계사가 1차 구매를 하고 이들이 적정 이윤을 붙여 소비자에게 판매했다. SK텔레콤은 SK네트웍스가, KT와 LG유플러스는 직접 했다. 자급제 확산은 이 구조의 약화다. 구조 약화는 기업 경쟁력 약화로 이어진다.

SK네트웍스는 작년 27조4992억원의 매출액을 올렸다. 이 중 휴대폰 유통을 담당하는 IM(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Marketing)사업부 매출액은 6조3818억원이다. 전체 매출액의 23.2%다. 작년 전체 영업이익은 3480억원이다. IM사업부 영업이익은 1447억원이다. 전체 영업이익의 41.6%다. 작년 IM사업부 영업이익률은 2.3%다.

KT와 LG유플러스는 SK네트웍스처럼 구분 발표를 하지 않기 때문에 계산이 필요하다. 일단 휴대폰 매출은 손익계산서에 상품매출 또는 단말매출에 포함된다. 영업이익은 따로 공개치 않는다.

KT의 작년 상품매출은 4조3280억원이다. 전체 매출액은 21조9900억원이다. 전체 매출액의 19.7%가 상품매출이다. KT의 사업 중 이동통신사업을 제외한 나머지 사업 중 가장 매출이 높다. SK네트웍스 IM사업부 영업이익률을 전용하면 KT 상품 영업이익은 995억원 안팎으로 추산된다. 작년 KT 전체 영업이익은 1조9570억원이다.

LG유플러스의 작년 매출액은 9조2563억원이다. 이중 단말매출은 2조7235억원이다. 단말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9.4%다. KT와 마찬가지로 SK네트웍스 영업이익률을 기반으로 추정하면 LG유플러스의 작년 단말 영업이익은 626억원 정도로 보인다. 작년 LG유플러스 영업익은 2857억원이다. 단말이익이 차지하는 비중은 21.9% 가량이다.

SK네트웍스와 KT LG유플러스 모두 이 사업은 재고 부담 없는 땅 짚고 헤엄치기 사업이다. 이들이 유통하는 휴대폰은 어떤 식으로든 다 팔려나간다. 영업이익도 보장된다. 물론 SK네트웍스나 KT LG유플러스의 각 사업부는 휴대폰만 유통하지는 않는다. 상당부분이 휴대폰이다. 그래도 자급제가 활성화 되는 만큼 실적 악화라는 점은 변하지 않는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준다.

휴대폰 자급제 자체는 통신비 인하 효과가 없다. 자급제를 통해 산 휴대폰도 결국 통신사에 가입을 해야 사용할 수 있다. 자급제로 바로 매출손실이 발생하는데 요금인하까지 해줘야 할 판이다. 이래저래 손해다. 그렇다고 대놓고 방통위에 반기를 들기는 부담스럽다. 차일피일 결정을 미루는 이유다.

[윤상호기자 블로그=Digital Culture]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