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AI

오픈AI "구글, 크롬 매각 시 인수 의향 있다"

챗GPT 책임자, 구글 반독점법 재판서 증언…"챗GPT 배포 어려움 커"

오픈AI 챗GPT [ⓒ 연합뉴스]
오픈AI 챗GPT [ⓒ 연합뉴스]

[디지털데일리 이나연기자] 구글이 미국에서 반독점법 위반으로 재판받고 있는 가운데,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미 법원이 구글 크롬 브라우저 매각을 명령할 때 인수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챗GPT 책임자 닉 털리는 22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린 구글 온라인 검색 시장 독점 해소 방안 재판에서 "크롬 브라우저를 인수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 우리뿐 아니라 많은 기업이 인수에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답했다.

미 법원은 지난해 8월 구글이 온라인 검색 시장을 불법적으로 독점하고 있다고 판결한 바 있다. 법무부는 구글의 독점 해소 방안으로 구글 크롬 매각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날 법무부 측 증인으로 출석한 털리 책임자는 "오픈AI 챗GPT는 구글 크롬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면서 "챗GPT가 크롬에 통합된다면 더 나은 제품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오픈AI가 가장 큰 어려움을 겪는 부분 중 하나가 배포"라면서 아이폰에 챗GPT를 통합하는 계약은 체결했지만,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제조사들과는 별다른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오픈AI가 삼성과의 협상에서 큰 진전을 이루지 못한 이유는 구글이 스타트업보다 훨씬 많은 자금을 투입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부연했다.

미 법무부는 전날 재판에서 구글이 자사 인공지능(AI) 모델 '제미나이'를 삼성 갤럭시폰 등 기기에 탑재하는 대가로 삼성에 "매월 막대한 금액을 지급하고 있다"고 전했다.

재판에 출석한 구글 플랫폼 및 기기 파트너십 부사장 피터 피츠제럴드는 이를 인정하면서도 "삼성 등 스마트폰 제조사가 제미나이만 탑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AI 모델도 탑재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털리 책임자는 "우리가 노력하지 않은 것이 아니다. 그러나 구체적인 계약 조건을 논의하는 단계까지도 가지 못했다"면서 구글 같은 대기업에 의해 시장에서 배제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