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뉴스

'관세'걱정없는 4대 금융… 올해 1분기 순이익 5조원 육박할 듯

ⓒ4대 금융지주
ⓒ4대 금융지주

[디지털데일리 강기훈 기자]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가 올해 1분기 5조원에 육박하는 당기순이익을 시현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발 관세여파로 국내 기업들의 출혈이 막대한 상황에서 금융지주들은 타격을 입지 않는 모습이다.

9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4대 금융지주가 4조8067억원의 순이익을 거둘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1분기 기준 역대 최고 기록이었던 2023년(4조9015억원)에 버금가는 수준이다. 작년 1분기(4조2286억원)과 비교하면 13.67% 가량 순이익이 증가할 예정이다.

금융지주 별로 살펴보면, KB금융이 1조5933억원억원의 순이익을 거둘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전년 동기 1조491억원보다 51.87% 가량 늘어난 수준이다.

전년 대비 순이익이 크게 급증한 이유는 작년 홍콩 주가연계증권(ELS) 사태로 인해 8620억원이 넘는 충당부채를 쌓았기 때문이다. 이후 홍콩 H지수가 올라 일부 환입되긴 했으나 기저 효과로 인해 올해 순이익이 크게 뛰었다.

신한금융의 1분기 순이익 전망치는 1조4389억원으로 예상돼 전년 동기(1조3215억원)보다 8.88% 증가할 예정이다. 하나금융은 1조299억원의 순이익을 거둬 1년 전(1조340억원) 보다 0.4% 가량 감소할 예정이며, 우리금융 또한 1년 전보다 9.64% 감소한 7446억원의 순이익을 시현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올해 1분기 4대 금융의 실적 전망이 밝은 데에는 이자이익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의 거듭된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예대금리차가 확대됐다.

실제로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지난 2월 말 기준 예대금리차는 1.3~1.47%포인트(p)로 집계됐는데 이는 작년 8월 이후 7개월 연속 증가한 수치다.

공교롭게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연일 전세계를 대상으로 강화된 상호관세 정책을 쏟아내고 있는 상황과 겹치고 있다. 높은 관세로 국내 수출기업들이 피해를 보고 있는데 금융지주들은 오히려 활짝 웃고 있는 것이다.

한 금융지주 관계자는 "매년 은행과 금융지주가 국민을 상대로 '이자 장사'한다는 비판을 들어왔는데 최근 관세 여파로 경기가 더 안좋아지고 있다"며 "당분간 금융지주들은 비판 세례를 피하긴 힘들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은행이 사기업이긴 하나 공적인 역할도 수행하는 주체라고 할 수 있다"며 "미국발 관세로 피해를 본 기업에 금융지원을 단행하고 있는 부분도 살펴봐달라"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 6일 하나금융이 국내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총 6조3000억원 규모의 긴급 금융지원을 발표했다. 이어 7일엔 KB금융이 8조원, 신한금융이 10조500억원 규모의 금융지원 방안을 내놨으며, 8일 우리금융은 10조200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