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e비즈*솔루션

허성욱 NIPA 원장 “AI 실증사업에 올해 예산 60% 집중”

허성욱 NIPA 원장이 6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2025년 NIPA 통합 사업설명회’에 앞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발언하고 있다. [Ⓒ 디지털데일리]
허성욱 NIPA 원장이 6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2025년 NIPA 통합 사업설명회’에 앞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발언하고 있다. [Ⓒ 디지털데일리]

[디지털데일리 권하영기자]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올 한해 인공지능(AI) 기술혁신의 다음 단계로 인공지능전환(AX)을 주도하는 실천적 역할을 다짐했다.

허성욱 NIPA 원장은 6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2025년 NIPA 통합 사업설명회’에 앞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올해 NIPA 사업은 AI에 대해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를 낼 수 있는 실증사업에 포커스를 두고 있으며, 전체 예산의 60%가 여기에 쓰일 예정”이라며 “모든 부처에서 AI 사업을 하지만, 실증사업이야말로 NIPA만이 할 수 있는 사업”이라고 밝혔다.

NIPA의 올해 사업예산은 5634억원으로, 지난해보다 1600억원가량 줄었다. 그럼에도 NIPA는 다양한 AI 지원사업을 통해 국내 기업들의 AI 경쟁력을 확보하고 나아가 글로벌 진출을 적극 돕겠다는 방침이다. 최근 중국 저비용 AI 모델 ‘딥시크’의 출현이나 미국 정부 주도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 등 AI를 둘러싼 지각변동이 커진 만큼, 추경 요청도 생각하고 있다.

허 원장은 “올해 예산이 1600억원 정도 삭감됐는데, 최근 화두인 피지컬 AI나 딥시크, 스타게이트 등 새로운 AI 트렌드를 반영해 보완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국회에서 AI 관련 예산 증액 필요성이 제기된다면 잘 얘기해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NIPA는 올해 3대 전략 목표로 ▲AI 인프라 투자 확대 ▲AX 가속화 및 AI 일상화 ▲ICT산업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제시했다.

AI 인프라 투자 확대 측면에선 올해 본격화하는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이 핵심이다. 국가 AI컴퓨팅 센터는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의 대규모 투자와 경쟁하기 위해 국가 재정과 민간 투자를 결합한 2조원 규모 국가 AI 인프라로, 특수목적법인(SPC) 형태로 출범하게 된다.

허 원장은 “NIPA가 지난 6년여간 AI 바우처와 고성능컴퓨팅(HPC) 자원을 지원하는 사업을 해 왔는데, 올해 정부가 추진하는 브랜드 사업으로 국가 AI컴퓨팅 센터를 진행할 것”이라며 “지난해 정부가 2030년까지 GPU(그래픽처리장치) 2만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는데 시기를 앞당기거나 규모를 확대하는 논의를 포함해 1분기 안으로 종합대책이 발표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국가 AI컴퓨팅 센터는 컴퓨팅 자원을 빌려주는 것뿐만 아니라 인재 개발이나 실증 등 다양한 사업과 연계해 나갈 것”이라며 “5월까지 희망 업체들 접수를 받고 있는데 NIPA가 중심이 돼 기술 평가를 진행할 것이고, 서비스 요금 수준은 SPC가 출범하는 단계에서 결정되겠지만 저렴한 요금 모델로 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AX 가속화를 위해 AI 실증사업도 확대한다. 특히 대구·광주 등 비수도권 지역 AI 및 소프트웨어(SW) 거점을 중심으로 지역 특화 산업과 연계해 AI 기반의 디지털전환을 가속화한다는 구상이다. 지역 산업뿐만 아니라 산업 전반에 AI와 SW를 적용한 신산업을 개척해, 산업별 지역 기반 혁신 사례를 발굴하자는 목표다.

글로벌 경쟁력 확보 부분에 있어서는 아세안 국가들과의 협력을 본격 추진하고, 미국 동부시장 진출을 위해 뉴욕대와 파트너십을 통해 협업사업을 펼칠 예정이다. 혁신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해외 실증 지원도 신규로 확대한다.

허 원장은 “지난해 두바이 등 중동으로 국내 SW 기업들의 접점을 많이 확대했다면, 올해는 뉴욕에 파견을 보내는 한편 아세안(ASEAN) 국가들의 인력양성 지원 프로그램인 KADIF(Korea-ASEAN Digital Innovation Flagship)에도 참여한다”고 소개했다.

그는 “SW 수출 지원을 위한 예산이 부족한 것은 맞지만 기존 실증사업 중 상당 부분을 해외 실증사업으로 많이 돌렸다”며 “AI 바우처 사업도 원래는 국내 수요기업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었는데 이를 해외 수요기업도 가능하도록 해 기업이 출발부터 글로벌 시장을 지향하도록 많이 지원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