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왕진화 기자] GS리테일이 K트렌드 열풍을 타고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굳힌다. GS리테일은 올해 수출 실적 900만달러(한화 약 131억6700만원)를 넘어서며 글로벌 수출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다고 26일 밝혔다.
GS리테일 해외 수출 실적은 2017년 2억원을 시작으로 매년 증가해 2020년 ‘300만달러 수출의 탑’ 수상, 2022년 ‘700만달러 수출의 탑’을 수상한 바 있다. 올해 실적으로 GS리테일은 수출 첫해 대비 65배 이상 신장한 성과를 거둔 것은 물론 7년 만에 1000만달러 돌파를 목전에 두게 됐다.
GS리테일은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에서도 글로벌 수출 경쟁력 향상, 상품 라인업 강화 등으로 수출을 확대했다는 분석이다. 또한 국가별로 가진 식문화와 소비 트렌드를 고려해 시장에 진입하는 ‘현지화 전략’을 세웠던 부분도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2017년 40여종에 불과하던 수출품목은 올해 기준 600여종에 달하며 수출 대상국은 유럽, 북미,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 등 30여개다. 올해는 K콘텐츠 열풍으로 넷플릭스 지식재산권(IP) 제휴 상품 10여종이 200만달러 수출 성과를 달성하며, 전체 수출 실적 1위에 올랐다.
특히 오징어 게임 시즌2 공개를 앞두고 달고나, 에너지드링크 등 관련 상품을 앞세워 미국이나 호주에 위치한 다양한 유통 채널로까지 판로를 확장했다. GS리테일로서는 넷플릭스와 협업으로 수출 저변을 확대하고 새로운 활로를 개척하는 계기가 된 것이다.
이외에도 ▲오모리 김치찌개라면, 공화춘, 점보라면 시리즈 등 PB 라면 ▲카페25 생우유 카페라테 ▲채식주의가자 많은 서양권 국가 소비자들을 위해 고기 성분을 제외한 수출용 노미트(No meat)라면 ▲수출 전용 카카오스무디 등이 주요 수출품목이다. GS25 가맹점에서 치킨·튀김 제조에 쓰이는 자동튀김기 등 시설 및 집기류, 무무씨 캐릭터 IP도 수출됐다.
GS리테일은 수출 대상국 및 상품 라인업 확대에 속도를 내며 2025년까지 1000만달러 수출액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할랄 등 신규 시장을 개척하고 현지 로컬 마트 등으로까지 신규 유통 체인망 진입을 늘릴 계획이다. K디저트 등 수출도 확대한다.
박지환 GS리테일 수출입MD팀장은 “이번 성과는 GS리테일이 다년간 수출사업을 통해 쌓아온 노하우를 기반으로 수출 활로를 개척한데에 따른 결과”라며 “우수 상품을 더 많이 수출해 K편의점 위상을 전세계에 알리고 나아가 해외 시장 판로 개척을 통해 중소협력업체와 상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DD's톡] 'SKT, 카카오 지분 매각'에 양사 주가 희비 엇갈려
2025-04-25 11:31:10SKT,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폭증…최민희 "실질적 안전대책 필요"
2025-04-25 11:14:35유영상 SKT 대표 “해킹사태 사과…전체 이용자 유심칩 무료교체”
2025-04-25 11:00:00“스포츠 중계도 AI로”…KT스카이라이프, OTT ‘호각’과 협업
2025-04-25 10:19:31SKT, 카카오 지분 전량 매각…"SKB 지분 인수 목적"
2025-04-25 08:53:22“멀티호밍 시대, 정부 시청자 방송채널 선택권 확대해야”
2025-04-24 22:53:07[DD's톡] 'SKT, 카카오 지분 매각'에 양사 주가 희비 엇갈려
2025-04-25 11:31:10"대기업·빅테크 대표까지"…리멤버 커넥트, 전문가 사전등록 4만명 돌파
2025-04-25 09:02:24위기의 유튜브…20주년 맞았지만 '끼워팔기' 논란과 '분할 위기' 그림자
2025-04-24 18:00:33法, '이정재 대주주' 아티스트컴퍼니 손 들었다…"신주발행, 문제 無"
2025-04-24 16:48:58넷플릭스 '탄금' vs 디즈니+ '나인퍼즐'…5월 韓 오리지널 격돌
2025-04-24 11:34:24문체부, 애니메이션 산업에 1500억원 투자한다…‘IP 강국’ 도약 시동
2025-04-24 11:2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