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에너지

강석훈 KDB산은 회장 "배터리 캐즘, 中과의 격차 때문…금융 지원 잇는다"

[소부장박대리] "결국 중요한 건 가격 경쟁력"

24일 KABC 2024에서 기조연설을 진행 중인 강석훈 KDB산업은행 회장
24일 KABC 2024에서 기조연설을 진행 중인 강석훈 KDB산업은행 회장

[디지털데일리 고성현 기자] 강석훈 KDB산업은행 회장이 전기차 배터리 시장 내 캐즘(Chasm) 원인으로 중국 기업과의 벌어진 성장 격차를 꼽았다. 중국 기업이 장악해 온 공급망을 바탕으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확대해 온 반면, 국내 업계가 변화의 때를 놓치면서 뒤처지게 됐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강석훈 KDB산업은행 회장은 24일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SNE리서치 주최로 열린 'KABC 2024' 기조연설자로 나서 국내 전기차·배터리 시장의 캐즘에 대판 평가와 극복 방안 등을 발표했다.

강 회장은 "최근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이 시작되면서 글로벌 경제 질서와 산업 질서를 지배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경제 안보 측면에서 보면 중국의 배터리가 전기차 글로벌 공급망을 장악한 가운데, 미국과 유럽연합(EU)이 미래차 분야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한 상황에서 대결이 격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캐즘이 찾아온 배경으로 "여기에 수요를 얼리어답터가 견인해 왔던 전기차가 높은 가격, 인프라 부족 등으로 주류 시장이 제한되고 있다"며 "글로벌 주요 국가들이 재정 상황을 고려해 보조금을 폐지, 축소하는 것오 수요 감소의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강 회장은 "많은 전기차 관련 종사자들이 가격이 낮아지고 인프라가 개선된다면 캐즘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을 가지고 있다. 이 의견에 대부분 동의하지만 그 이외의 측면도 있을 것"이라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전기차가 대중화되려면 저렴한 배터리가 필요한데, 저렴한 배터리는 중국으로부터 장악된 상황"이라며 "미국과 EU 입장에서는 (중국 장악 상황에 대해) 어떤 전략을 선택할 것이냐에 대해 고민할 수밖에 없고, 전기차 보급 속도를 조절하는 식으로 대응한다면 캐즘이 생각보다 장기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현재 글로벌 경제가 미국과 중국의 패권 대립이 격해진 가운데, 중국이 전기차 산업에서 앞서나가자 미국·EU가 전기차 대중화 시기를 미루는 식으로 대응한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시기를 늦추고 중국을 견제하는 정책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캐즘이 발생했고, 이에 따라 국내 전기차·배터리 기업들의 경쟁력이 약화된 것이다.

강 회장은 "결국 가장 중요한 건 배터리의 가격경쟁력인데, 현재는 중국의 LFP 배터리와 한국의 삼원계(NCM, NCA) 배터리는 삼원계 배터리 가격 하락에도 그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며 "중국이 압도적인 기술력을 갖고 있고, 관련 공급망을 장악해왔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강 회장은 "이는 과거 일본이 리튬코발트산화물(LCO) 배터리로 주도권을 잡았다가, 안주하는 사이 한국과 중국에게 추격당한 것과 유사하다"며 "이미 중국과의 격차는 쉽게 따라가기 어려울 정도로 격차가 확대됐다고 보여지기도 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강 회장은 이러한 중국과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기술 개발을 지속하는 한편 공급망을 내재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미 CATL과 비야디(BYD) 등 중국 기업이 광물 등 원료 공급망을 장악한 상황이나, 격화된 미중갈등에 따라 무위의 공급선이 발생하는 등 기회 요소가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그는 "인도네시아의 경우 자국에서 생산한 광물이 미국의 기준으로 봤을 때는 적성 국가의 니켈로 분리되지 않는데, 이 요건을 확보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자본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더러 있다"며 "이러한 기회들을 우리 기업이 살려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산업은행 차원에서도 배터리 산업의 부흥을 위해 자금 지원을 진행하고 있음을 밝혔다. 산업은행은 현재 금융위 등 정부 정책과 연계해 전고체 배터리 개발 지원, 배터리 원자재 확보 및 소재 국산화 지원 등의 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강석훈 회장은 "산업은행은 2019년부터 지난 5년간 약 15조원을 배터리에 투자했고, 이는 반도체에 한 6~7조원 투자 대비로도 높은 수치"라며 "대출 외에도 직접 투자나 펀드를 통한 간접 투자를 동시에 병행 중이다. 아울러 정부의 정책금융 방안에 맞춰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앞으로도 배터리 산업을 위한 지원을 계속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