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나연 기자] 미래 모빌리티 산업으로 손꼽히는 자율주행과 도심항공교통(UAM), 로봇 서비스를 관통하는 핵심은 무엇일까. 바로 인공지능(AI)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AI 대전환 시대를 맞아 차세대 모빌리티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기업 중 하나다.
카카오모빌리티(대표 류긍선)는 8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넥스트 모빌리티:네모2023(NEMO2023)’을 개최했다. 넥스트 모빌리티:네모는 카카오모빌리티가 보유한 기술 역량을 선보이고, 협력사와 함께 파트너십 기반 모빌리티 산업 비전을 제시하는 테크 컨퍼런스다. 지난해 2월 처음 개최해 올해로 2회를 맞았다.
이날 행사에선 AI가 접목된 모빌리티 기술들을 직접 만나볼 수 있는 NEMO2023 전시관이 마련됐다. 그동안 카카오모빌리티가 연구하고, 서비스로 구현해 온 AI 기반 모빌리티 플랫폼 테크 비전을 선보인다는 취지다.
NEMO2023 입구로 들어서면 AI 기술 기반으로 구현될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들을 소개하는 ‘AI 랩(AI LAB)’ 테마관이 나온다. 이곳은 카카오모빌리티 이동 빅데이터와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 AI 기술 간 연계성을 시각화한 공간이다.
지상과 상공을 아우르며 시공간 동기화 기술로 디지털 트윈을 생성하는 다양한 종류 ‘모바일 맵핑 시스템(MMS)’인 ‘아르고스(ARGOS)’ 시리즈를 볼 수 있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백 개의 눈을 가진 거인의 이름에서 착안한 아르고스 시리즈는 실내외 구분 없이 ▲32채널 라이다 ▲안테나 ▲고해상도 머신비전 카메라 ▲측위 센서 등을 융합해 고정밀지도(HD맵)을 구현해 디지털 트윈을 구축한다.
카카오모빌리티 자체 기술로 개발된 아르고스는 세밀한 정밀도와 극한의 정확도를 가능하게 하는 높은 수준 위성항법시스템(GNSS) 보정 기술과 시공간 동기화 기술이 적용됐다.
카카오모빌리티의 공간정보 수집 노하우가 집약된 ‘아르고스 아이’는 MMS 모듈을 차량 위에 부착해 활용하는 시스템이다. 이동하는 각 지점에서 수집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는 정합 및 도화 과정을 거쳐 AI가 이해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으로 거듭난다. 이번 전시에선 지난 6월 공개된 ‘아르고스 아이 4.2’ 실물을 선보였다.
‘아르고스 에어’는 안전한 UAM 운용을 위해 드론에 MMS 모듈을 결합한 시스템이다. 아르고스 에어를 통해 구축한 버티포트(수직이착륙 비행장) 일대 디지털 트윈은 UAM 운항 경로를 생성하고 UAM의 안전한 도심 이착륙을 지원하는 데 활용될 예정이다.
‘아르고스 MR’은 주차장과 캠퍼스, 건물 내부 등 차량이 가지 못하는 지역의 고정밀지도(HD Map) 제작을 위해 자체 개발한 모바일 로봇에 MMS 모듈을 결합한 시스템이다. 5킬로미터(km)/h의 느린 속도로 이동하며 1초에 10회 이상 공간 정보를 취득하는데, 1km를 이동할 때 총 7200여장 이상 공간을 촬영하는 셈이다. 이번 전시에선 모바일 로봇이 실시간 측위를 통해 실내를 이동하며 공간정보를 취득하고 지도를 생성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자율주행과 UAM, 로봇 등 미래 모빌리티 기술 운영 모습을 담은 중앙 스크린 영상을 지나면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형상화한 ‘모빌리티 아틀라스’를 확인할 수 있다. 모빌리티 아틀라스는 카카오모빌리티 AI 기술 핵심 경쟁력인 빅데이터 분석 역량을 대형 스크린에 시각화해 보여준다. 이번 NEMO2023에선 서울과 주요 도시 이동 수요와 공급 데이터를 통해 국내 이동 데이터 현황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하루 수십 테라바이트(TB) 수준 도로 정보와 교통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고 있다”면서 “이러한 빅데이터 실시간 처리 역량은 모빌리티 서비스를 지속 개선시키고, AI 기술 성능을 고도화할 수 있는 막강한 경쟁력이 된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카카오모빌리티는 혁신적인 이동 서비스와 기술을 꾸준히 선보일 계획이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윤석열 파면] 헌재 “야당의 방통위원장 탄핵소추, 계엄령 요건 될 수 없어”
2025-04-04 16:47:39SKT 유영상 “돈버는 AI 성과 본격화”…AI 성과 가시화 재차 강조
2025-04-04 10:44:29'尹 운명의 날'…통신3사, 탄핵선고 앞두고 총력 대비
2025-04-04 10:08:18[단독] 유료방송 위기여파 PP로…“콘텐츠 사용료 약 1200억원 감소 전망”
2025-04-03 17:44:35[DD퇴근길] 5대 AI에게 물었다…"尹 탄핵심판 결과, 어떨 것 같니?"
2025-04-03 17:13:51[인터뷰] 이해민 의원, "美 통상마찰 없이 '망 무임승차' 해결하려면"
2025-04-03 15:59:44엔시티 위시, 엠넷플러스 '숨바꼭질' 두번째 플레이어로 출격
2025-04-04 17:44:41[DD퇴근길] 윤석열 대통령 파면…ICT·산업계 미칠 영향은?
2025-04-04 17:16:48[윤석열 파면] '탄핵 기념 정식' 인증샷 급증…中 포털서는 실시간 검색어 1위도
2025-04-04 16:49:16우아한형제들, 독일 모기업 DH 자사주 매입·소각…5372억원 지급
2025-04-04 16:48:46우아한형제들, 지난해 매출 4조원 벽 뚫었지만…무료배달 경쟁에 영업익 감소
2025-04-04 15:16:39지난해 외형 커진 배민·쿠팡이츠·요기요…수익성 개선은 공통 과제로
2025-04-04 15:1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