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풍에어컨 2023년형 갤러리·클래식·슬림 3종 출시…친환경 기능 장착
- 특화 기능 확장한 공청기, 필터 교체에 따라 업그레이드 가능
- 생활가전사업부 힘 주는 삼성전자…인력 확대 및 조직 세분화
[디지털데일리 백승은 기자] 삼성전자가 2023년형 에어컨과 공기청정기를 공개했다. 이번 신제품은 에너지 절감 기능이 다수 탑재됐고, 디자인 역시 업그레이드됐다. 1등급보다 냉방효율을 높인 제품을 더하고 스마트홈 애플리케이션(앱) 스마트싱스를 통한 에너지 절감 기능도 추가했다.
삼성전자는 최근 생활가전사업부 경쟁력 확장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대한 일환으로 내부 인력 충원, 조직 세분화 등을 단행했다.
◆3D 메탈 프레스 공법의 ‘실루엣 디자인’ 탑재·한 달 전기료 7000원 줄이는 ‘AI 절약 모드’
26일 삼성전자가 2023년형 ‘비스포크 무풍에어컨’과 ‘비스포크 큐브 에어 공기청정기’ 신제품 라인업을 공개했다.
무풍에어컨은 지난 2016년 1세대 모델을 시작으로 2019년 2세대, 2023년 3세대로 진화했다. 올해 무풍에어컨 라인업은 ▲무풍에어컨 갤러리와 하위 모델인 ▲무풍에어컨 클래식 ▲무풍 슬림으로 나뉜다.
비스포크 큐브 에어 공기청정기의 출고가는 타입과 청정면적(60~123㎡)에 따라 79~174만원이다. ▲탈취 특화 ▲살균 특화 ▲펫케어 특화 모델 등으로 구분된다.
새 공기청정기는 ‘맞춤 케어 필터’가 도입됐다. 예를 들어 일반 모델이나 탈취 특화 모델을 구매했어도 펫 강화 필터나 살균 강화 필터로 교체해 업그레이드하며 사용할 수 있다.
에어컨과 마찬가지로 에너지 절약 기능도 향상했다. AI 절약 모드 활성화 시 에너지 사용량을 최대 30% 절감할 수 있다.
스마트싱스 자동화 루틴 설정도 가능하다. 외출이나 귀가 시간 등 사용자의 생활 반경에 맞춰 제품 전원을 껐다 켰다 하며 공기질을 관리할 수 있다.
◆올해 예상 에어컨 수요 200~250만대로 평년 수준
지난 2020년 코로나19 발생 이후 가전업계는 보복소비(펜트업) 효과로 호황기를 맞았다. 그렇지만 2021년 3분기부터 펜트업 수요가 악화하고, 2022년 본격화한 글로벌 경제 위기로 가전 수요가 하락세에 접어들었다. 그렇지만 삼성전자는 평년 수준의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6G 상용화 이전 'AI 네트워크 구현' 위한 지원 필요”
2025-04-17 20:30:56티캐스트, 콘텐츠 자체제작 중단…“제작팀 해체 등 비상경영체제 돌입”
2025-04-17 18:04:05[IT클로즈업]‘미키17’로 재점화된 영화계 홀드백 문제...레거시의 단순 몽니일까?
2025-04-17 15:04:48CJ메조미디어, 디지털광고 특화 AI 어시스턴트 ‘앤써’ 출시
2025-04-17 10:40:40뉴 아이디, 현대자동차와 차량 내 FAST 서비스 출시
2025-04-17 10:23:24"공개일 유출 의혹에 미정이라더니"…디즈니+, '나인퍼즐' 5월21일 공개
2025-04-17 18:06:10무신사, 창립 첫 비상경영 돌입…"1분기 실적 내부 목표 미달"
2025-04-17 17:21:46민주당 게임특위, “등급분류 전면 개편·질병코드 대응 강화”
2025-04-17 17:20:29[DD퇴근길] '지브리' 프사로 도배될까…오픈AI, 차세대 SNS 개발 착수
2025-04-17 17:15:44강유정 의원 “게임 과몰입보다 저몰입이 문제… 유저 목소리, 대선 공약 적극 반영”
2025-04-17 16:1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