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가 발표한 '2021년 방송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DMB를 포함한 지상파방송사업자와 IPTV 사업자,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의 매출은 증가한 반면, 케이블TV사업자(SO)와 위성방송사업자의 매출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먼저 지상파 방송사의 총 매출액은 약 4조원으로 전년대비 11.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 광고매출은 지난해 7월 도입된 중간광고와 코로나 회복에 따른 기업의 마케팅 증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20.8% 늘어난 약 1조2000억원으로 늘었다.
또, 유료방송사업자의 총 매출액은 약 7조원으로 전년 대비 3.9% 증가했으나 성장률 둔화세는 지속됐다. 유료방송사업자 가운데 IPTV는 전년 대비 8.2% 늘어난 4조6368억원을 기록했으나 종합유선, 즉 케이블TV 사업자는 4.1% 감소한 1조8647억원을 기록했다. 위성방송도 2.2% 감소한 5210억원으로 나타났다.
PP 사업자의 총 매출액은 7조5520억원으로 전년대비 6.8% 증가했다. 이중 홈쇼핑을 제외한 PP의 매출액은 약 3조7000억원으로서 14.4% 늘었다. 데이터홈쇼핑 PP를 포함한 홈쇼핑PP 매출액은 약 3조8000억원으로 전년대비 83억원 증가했다.
다만 부문별로는 TV홈쇼핑 매출액은 2년 연속 감소한 반면, 데이터홈쇼핑 매출액은 전년 대비 11.9% 증가해 비교적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다. IPTV CP의 총 매출액은 8440억원으로 방송프로그램판매매출이 증가하며 전년대비 37.7% 성장했다.
유료방송 가입자는 3577만 단자로 전년대비 98만 단자가 증가했으나, 증가율은 2016년 이후 계속 하락 중이다. 유형별 가입자 수는 IPTV가 전년대비 7.3% 증가한 1989만 단자, SO가 1.9% 감소한 1288만 단자, 위성방송은 2.9% 감소한 299만 단자, 중계유선(RO)은 66.7% 줄어든 1.2만 단자로 집계됐다.
방송프로그램 제작·구매비는 약 3조원으로 전년대비 4.4% 늘었다. 이는 2020년 코로나로 감소했던 프로그램 제작이 재개·활성화되면서 지상파와 PP 모두, 제작·구매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프로그램 수출액은 약 4억3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11.9% 감소, 수입액은 약 6000만달러로 2.3% 증가했다.
방송분야 종사자 수는 3만6592명으로 전년대비 541명이 감소했다.
한편 ‘방송산업 실태조사’는 정부 정책, 기업의 경영계획 및 학계·연구소의 연구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방송매출 1억원 이상의 방송사업자를 대상으로 2000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는 국가승인 통계조사다. 지난해는 422개 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6G 상용화 이전 'AI 네트워크 구현' 위한 지원 필요”
2025-04-17 20:30:56티캐스트, 콘텐츠 자체제작 중단…“제작팀 해체 등 비상경영체제 돌입”
2025-04-17 18:04:05[IT클로즈업]‘미키17’로 재점화된 영화계 홀드백 문제...레거시의 단순 몽니일까?
2025-04-17 15:04:48CJ메조미디어, 디지털광고 특화 AI 어시스턴트 ‘앤써’ 출시
2025-04-17 10:40:40뉴 아이디, 현대자동차와 차량 내 FAST 서비스 출시
2025-04-17 10:23:24"공개일 유출 의혹에 미정이라더니"…디즈니+, '나인퍼즐' 5월21일 공개
2025-04-17 18:06:10무신사, 창립 첫 비상경영 돌입…"1분기 실적 내부 목표 미달"
2025-04-17 17:21:46민주당 게임특위, “등급분류 전면 개편·질병코드 대응 강화”
2025-04-17 17:20:29[DD퇴근길] '지브리' 프사로 도배될까…오픈AI, 차세대 SNS 개발 착수
2025-04-17 17:15:44강유정 의원 “게임 과몰입보다 저몰입이 문제… 유저 목소리, 대선 공약 적극 반영”
2025-04-17 16:1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