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고전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가장 큰 원인은 ‘집중 부족’이 꼽힌다.
지난 7일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 경계현 사장은 “시스템온칩(SoC)만 놓고 보면 인력이 경쟁사 3분의 1 수준밖에 안 된다”면서 “현재 역량으로 가장 잘 할 수 있는 게 뭘까 고민하면서 그 부분에 집중하도록 할 것”이라고 전했다.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은 메모리, 시스템LSI, 파운드리 등 크게 3개 영역으로 나뉜다. 이중 시스템LSI 사업부에서 AP 등을 설계하는데 이미지센서, 전력관리칩(PMIC) 등도 맡는다. 애초에 분산된 인원마저 AP에만 전념할 수 없다는 의미다. 엑시노스만 해도 스마트폰용에서 전장용 등으로 확장 중이다.
이번 경 사장 발언은 SoC 백화점에서 전문점으로 탈바꿈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는 지난 7월 개최한 ‘2022년 2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도 비슷한 뉘앙스를 풍겼다.
당시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 피재걸 부사장은 “현재 SoC 사업 모델을 재정비하고 있고 리소스를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해 중장기 경쟁력을 높이는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며 “특히 4세대 모바일 엑시노스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각 지적재산(IP) 선도업체와 협력도 늘리고 조기 개발 착수 등을 통해 주요 고객사 점유율을 확대하려고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최근 삼성전자 뉴스룸을 통해서는 엑시노스 마케팅 강화를 선언했다.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 SoC개발실장 김민구 부사장은 “엑시노스를 전 세계인들이 믿고 쓰는 최고의 모바일 AP 브랜드로 인정받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엑시노스2200’ 개발 과정에서 AMD와 손잡은 것처럼 외부 협력사와 협업 확대도 예고된다. 코아시아 등 디자인솔루션파트너(DSP) 역량도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DSP는 반도체 설계(팹리스) 업체와 파운드리 기업 간 가교 역할을 하는 디자인하우스로 이뤄진 조직이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알뜰폰 증가률 1%대 회복…1만원 5G 요금제 효과 가시화?
2025-05-16 17:40:35[현장] 서울 성수서 셀럽 사로잡은 ‘칼 라거펠트’ 철학…“한국 사랑 돋보이네”
2025-05-16 14:59:11SKT, 이번 주말 약 90만개 유심 확보한다…“QR 유심재설정 준비 중”
2025-05-16 11:09:11“엄마아빠, 저예요” LGU+, AI로 순직소방관 목소리 복원
2025-05-16 09:25:30미디어산업 진흥 ‘마지막 기회’…“‘청와대 미디어수석’ 신설해야”
2025-05-15 17:43:18이해진 네이버, 첫 해외 일정으로 실리콘밸리行…글로벌 AI 투자 본격 시동
2025-05-16 18:43:15"경찰도 전기자전거 구독"…스왑, 서울경찰청 시범 공급
2025-05-16 18:42:14NOL 인터파크투어, 항공권 취소·환불 수수료 무료 프로모션 진행
2025-05-16 17:32:09[DD퇴근길] "구글에 지도 반출하면 생태계 무너질 것"…스타트업, 한 목소리
2025-05-16 17:22:59아디다스 고객 정보 유출…"2024년 이전 고객센터 문의자 대상"
2025-05-16 17:22:14네이버, 디지털상공인 연합 기획전 진행…"소성공인과 동반 성장"
2025-05-16 16:5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