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000만대 이상 팔린 '갤럭시A12' AP는 미디어텍 담당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삼성전자의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사업이 반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갤럭시 탑재율이 떨어지는 가운데 야심작인 ‘엑시노스2200’마저 기대에 못 미치는 분위기다.
26일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2021년 4분기 전 세계 AP 시장에서 삼성전자 점유율은 4%다. 전년동기(7%)에서 3%포인트하락했다. 대만 미디어텍(33%), 미국 퀄컴(30%)·애플(21%), 중국 유니SOC(11%)에 이은 5위다.
가장 주목할 부분은 유니SOC와 격차다. 작년 2분기 첫 역전을 허용한 이후 점유율 차이는 2%(2분기)→5%(3분기)→7%(4분기)로 벌어졌다.
유니SOC는 중국 칭화유니그룹 자회사인 반도체 설계(팹리스) 업체다. 아너 리얼미 ZTE 등 자국 스마트폰 업체와 거래량을 늘리면서 몸집을 키웠다. 미국 제재로 휘청거린 화웨이 자회사 하이실리콘 자리를 대신했다. 결과적으로 삼성전자는 중국 기업에 4위를 완전히 내주게 됐다.
삼성전자 AP 부진 이유로 크게 2가지를 꼽을 수 있다. 같은 회사이자 고객사인 모바일익스피리언스(MX) 사업부의 전략과 설계와 생산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사업부의 내부 이슈다.
최근 수년간 삼성전자는 중저가 스마트폰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인도 브라질 등 신흥국 시장을 공략 차원에서 ‘갤럭시A’와 ‘갤럭시M’ 시리즈에 무게를 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원가절감을 위해 윙텍, 화친 등 중화권 제조자개발생산(ODM) 물량을 늘렸다. 자체 생태계를 갖춘 ODM은 삼성전자 대신 다른 업체 AP를 활용했다. 삼성전자 MX 사업부 역시 가격경쟁력 향상을 위해 미디어텍 AP를 본격 도입하기도 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이번 주말 약 90만개 유심 확보한다…“QR 유심재설정 준비 중”
2025-05-16 11:09:11“엄마아빠, 저예요” LGU+, AI로 순직소방관 목소리 복원
2025-05-16 09:25:30미디어산업 진흥 ‘마지막 기회’…“‘청와대 미디어수석’ 신설해야”
2025-05-15 17:43:18[DD퇴근길] 테무 개보법 위반, 13억대 과징금 철퇴…"협조 불충분"
2025-05-15 17:28:05"AI 투자, 개별기업 감당 못해…정부 전략적 역할 필요"
2025-05-15 16:24:51펄어비스 검은사막, 10주년 기념 LP 레코드 글로벌 발매
2025-05-16 11:08:21"곽튜브와 떠나는 1보 1식 먹방여행"…여기어때, 버킷팩 출시
2025-05-16 10:39:43시프트업 '스텔라 블레이드' PC 버전 프리오더 시작…내달 12일 정식 출시
2025-05-16 09:49:55[새 정부에 바란다④] "규제 칼날 피할까"…'진흥'에 목마른 플랫폼업계
2025-05-16 07:30:00[새 정부에 바란다③] 디지털 주권 vs 통상 리스크, 한-미 협상 갈림길에선 韓
2025-05-16 06: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