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변재영 기자] 최근 정부가 내놓은 금융 취약층 채무조정 지원대책을 놓고 온라인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18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가상자산 투자 실패자를 위한 제도가 아니다"라는 점을 강조했다.
지난주 정부가 '새출발기금' 등 '125조원+α' 규모의 취약층 금융부담 경감 대책을 발표한 이후, 온라인에서는 '주식·가상자산 투자 실패자들까지 빚을 탕감해 주는 것이 과연 올바른 정책이냐'는 논란이 비등했는데 이날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이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힌 것이다.
김 위원장은 이에 대해 "사업이 안될 수 있고, 가정적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고, 투자실패도 있을 수 있다. 더 중요한 것은 예정대로 채무를 갚을 수 있느냐 없느냐에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우리 금융시스템에서 정상적 채무상환이 어려운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현재도 채권금융기관 스스로나 신용회복위원회, 법원의 회생절차 등을 통해 상환유예나 원리금 상환금액 조정 등 채무조정 지원을 통해 재기를 돕고 있다"는 설명했다. 즉, 특혜가 아니라 기존 개인 회생제도 등 제도적 틀안에서의 지원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이같은 김 금융위원장의 해명이 논란을 잠재울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온라인에서는 "암호화폐와 같은 위험자산에 투기적 목적으로 '빚투'하는 사람들까지 국가 세금으로 책임지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 "빚투족은 취약 계층이 아니다. 진짜 재무 취약층은 아예 대출을 못받는 사람들", "만약에 수익을 냈으면 '빚투'족들이 사회에 이익금을 일정 부분 환원했겠는가"라는 지적이 적지않게 제기되고 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신규가입 전산 중단...“유심보호는 로밍이용자 제외 내일 중 마무리”
2025-05-05 12:51:55“한국+일상+AI”...KT가 말하는 ‘K 인텔리전스’란?
2025-05-05 11:37:29[팩트체크] SKT 해킹사고 관련 스미싱 문자, 어떻게 구분할까
2025-05-04 16:08:29국회입법조사처 “SKT 위약금 자발적 면제, 법적 문제 없을듯”
2025-05-04 16:07:40SKT, 5일 신규가입 중단 시작…“유심교체, 온라인 예약자 우선”
2025-05-04 11:39:40SKT ‘최고단계 비상경영체제’ 선언...“위기 극복 온힘”
2025-05-03 12:35:23CJ ENM, 美 아마존프라임비디오 독점 공급 계약 체결
2025-05-05 11:10:11"가정의 달 수요 꽉 잡아라"…OTT, 'NEW 오리지널' 승부수
2025-05-04 16:08:04[툰설툰설] 피와 복수로 써내려가는 액션… ‘무장 – 무투전’ vs ‘무적자’"
2025-05-04 14:23:30위메이드, 위믹스 상폐 결정 불복… “닥사 기준 불명확, 가처분 소송 낼 것”
2025-05-03 12:17:21엠넷 플러스, 오리지널 '숨바꼭질' 앱 가입 기여 1위…엔시티 위시 다음은?
2025-05-02 23:05:49듀오링고, 148개 신규 언어 코스 출시…"한국어로 일어·중국어 배워요"
2025-05-02 17:1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