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자동차

충전없이 갈아끼우는 전기차 배터리에 꽂힌 중국… 테슬라·폭스바겐 "별 관심없어"

[디지털데일리 심민섭기자] 중국 정부가 '교체형 전기차 배터리' 기술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있어 주목된다.

중국의 니오(Nio), 지리(Geely), 알톤, 시노팩 주요 4개 회사가 기존 1천400개의 배터리 교체 시설을 2025년까지 2만400개로 대폭 늘릴 예정이라고 지난 2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이 전했다.

'교체형 배터리' 기술은 소진된 배터리를 충전하지 않고 새 배터리를 갈아 끼우기 때문에 기존의 충전식 방식보다 별도로 충전시간이 걸리지 않는 등 사용자 편의성이 좋아진다.

지금은 '일체형'으로 나오지만 예전에 스마트폰 배터리 2개를 가지고 다니면서 번갈아 끼우던 모습을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또한 충전이 가능한 전력망에 운전자가 몰려드는 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같은 '배터리 교체'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선 전기차 배터리의 표준화가 먼저 필요하다는 점을 상기시키고 있다.



외신들은 아직 기술적인 완성도에 대한 의문 속에서도 만약 중국이 교체형 전기차 배터리 기술의 개발 및 상용화에 성공한다면 테슬라, 폭스바겐, GM 등 기존 충전방식을 따르던 전기차 제조사들의 사업 모델에 타격이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테슬라의 경우 고유의 충전망과 전용 배터리가 있기에 여파가 더 클 것이란 예상이다. 실제로 지난 해 테슬라는 교체형 배터리 기술에 대해 “문제투성이의 기술을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것은 곤란하다”며 관련 개발을 포기한 바 있다.

현재 중국 정부의 이같은 '배터리 교체' 기술과 관련된 계획은 단편적으로만 공개된 상태다. 수도인 베이징 시는 오는 2025년까지 자동차 판매량의 25%를 전기차로 확보하거나 600만 대 이상의 전기 승용차로 전환할 계획인데 이와 병행해 이중 일부 전기차는 이같은 '배터리 교체 기술'을 적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세계 최대 규모 배터리 제조사인 중국의 CATL은 중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적 수요’에 응답하기 위해 교체형 전기차 배터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외신은 전하고 있다.

이에 CATL측은 “현재 중국 시장에서 관련 기술을 축적하고 있으며, 해외 파트너들과 협의를 하고 있다”며 “더 구체적인 계획은 곧 발표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물론 여전히 테슬라, GM, 폭스바겐 등 중국 이외의 다른 자동차 제조사들은 여전히 '배터리 교체' 기술 개발 계획은 없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

GM 대변인은 “현재 계획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말했으며, 폭스바겐측도 교체형 배터리 기술에 관심은 있었으나 고속 충전 기술의 대두로 현재는 계획에 있지 않다고 말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