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백승은 기자] 냉장고 없는 주방을 상상해 본 적 있나요? 팥 없는 찐빵만큼이나 어색하게 느껴집니다. 국내 냉장고 보급률은 99%에 달할 만큼 대표 필수 가전 중 하나인데요. 그렇다면 국산 냉장고는 언제 처음 등장했을까요. 또 어떻게 우리 곁으로 오게 됐을까요?
◆57년 전 ‘눈표 냉장고’… 현재 용량의 6분의 1=국산 냉장고의 역사는 생각보다 길지 않습니다. 국내 최초 가정용 식품 보관 냉장고는 1965년 LG전자(당시 금성사)의 ‘눈표 냉장고(GR-120)’인데요. 일본 히타치사와 기술 제휴를 통해 만들어졌죠. 올해 기준 만 나이로 막 57살 됐으니 국산 냉장고의 역사는 아직 60년이 채 되지 않은 셈입니다. 이 제품은 국가등록문화재에 지정되기도 했습니다.
현재 시판되는 냉장고 용량은 600~800리터(ℓ)가 일반적입니다. 반면 눈표 냉장고는 120ℓ였습니다. 최근 자주 보이는 냉장고의 6분의 1 수준으로 작았다는 뜻이죠. 또 냉장실과 냉동실이 분리돼있는 지금과는 달리 냉장·냉동실 일체형이었습니다.
눈표 냉장고가 막 출시됐을 때는 전력 보급 상태가 좋지 않아 큰 판매고를 올리지 못했습니다. 국가기록원에 따르면 1965년대 전국 냉장고 보급률은 1%에도 미치지 못했는데요. 출시 3년 뒤인 1968년에도 전국에 냉장고 보유 대수는 5만대 수준이었습니다. 600가구 중 1대 꼴이죠.
◆21년 만에 전국 보급률 1%→95%…‘김치냉장고’ 탄생=눈표 냉장고 이후 국내 전자업체는 경쟁적으로 냉장고를 출시하기 시작합니다. 대한전선은 1968년 ‘원투제로냉장고’를 삼성전자는 1974년 ‘SR-180’을 시판했습니다.
1980년대에 들어 경제 성장이 지속하고 생활 수준이 향상하면서 냉장고 보급률이 급격하게 늘기 시작했습니다. 국가기록원은 1986년 전국 냉장고 보급률이 95%였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극소수만 사용하던 냉장고를 불과 21년 만에 전 국민이 사용하게 된 것이죠.
사용성 또한 다양해졌습니다. LG전자는 1984년 김치냉장고 ‘금성김치냉장고’를 처음으로 내놨습니다. 당시에는 큰 빛을 보지 못하던 김치냉장고는 11년 뒤 위니아딤채(당시 만도기계)의 뚜껑형 김치냉장고 ‘딤채 CFR-052E’가 큰 인기를 끌며 새 시장을 개척합니다.
◆‘맞춤형’ 바람…색상·디자인 다양화=필수 가전으로 오랜 시간 우리 곁에서 함께한 냉장고는 최근 몇 년 간 또 한 번의 큰 변화가 있었는데요.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연간 통신분쟁 전년 대비 22% 급증…”이용계약 관련 분쟁이 절반”
2025-02-21 17:39:30[DD퇴근길] 계속되는 '망 사용료 갈등'…MWC, 논의의 장으로
2025-02-21 17:28:22[IT클로즈업] ‘망 사용료 논쟁’ MWC서 재점화될까…“주요국 입장 예의주시해야”
2025-02-21 11:30:17[DD퇴근길] 제로트러스트 실제 적용사례·정부정책 한눈에
2025-02-20 17:15:10"KT·네카오·메가존 합류"…ICT기업 품은 한경협, DX 혁신 꿈꾼다
2025-02-20 15:34:56SM·카카오엔터 합작 英 보이그룹 '디어앨리스' 공식 데뷔
2025-02-21 17:28:39[DD퇴근길] 계속되는 '망 사용료 갈등'…MWC, 논의의 장으로
2025-02-21 17:28:2229CM, 상반기 ‘이구홈위크’ 전년비 거래액 2배 돌파…“주방용품·홈 패브릭 상품 추천 적중”
2025-02-21 16:24:36위메이드 ‘레전드오브이미르’, 구글 플레이 인기 1위 달성
2025-02-21 16:16:01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탑’, 일본 현지 CBT 시작
2025-02-21 14:55:42"D.P. 신드롬 한 번 더"…한준희 신작 '로드', 넷플릭스로?
2025-02-21 13:2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