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정부의 롱텀에볼루션 기반 재난안전통신망(PS-LTE) 본 사업이 임박했다. 2025년까지 약 2조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행정안전부는 이달 중 제안요청서(RFP)를 공지할 예정이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가 격돌한다. 각각 재난망 구축과 운영에 최적화 한 통신사라고 강조했다. 실적 및 자존심 경쟁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행정안전부는 이달 재난망 본 사업을 위한 RFP를 공지할 예정이다. 9월까지 사업자를 선정할 전망이다. 본 사업은 2018년부터 2025년까지 총 8년 진행한다. 2020년까지 망을 구축하고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운영한다. ▲구축 4454억원 ▲단말 4006억원 ▲운영 7976억원 ▲예비비 846억원 등 총 1조7282억원의 예산을 책정했다.
망 구축은 3단계로 나눠 이뤄진다. ▲2018년 1단계 5개 시도(세종 대전 충북 충남 강원) ▲2019년 2단계 9개 시도(부산 대구 울산 경북 경남 광주 전북 전남 제주) ▲2020년 3단계 3개 시도(서울 인천 경기) 대상이다. 발주는 한 번에 한다.
재난망은 국가기관 모두 활용한다. 분산한 네트워크를 하나로 모아 종합 소통을 지원한다. 음성뿐 아니라 데이터 통신을 제공해 상황을 보다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했다. 독립망을 구축해 안정성을 높였다. 다만 음영지역 등에선 상용망과 연동한다.
이번 수주 경쟁은 KT가 먼저 치고 나왔다. KT는 지난 25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재난안전솔루션을 공개했다. ‘스카이십 플랫폼’을 발표했다. 비행선 스카이십을 모체로 했다. ▲스카이십 ▲스카이십C3 스테이션 ▲스카이십 드론 ▲스카이십 로봇 등으로 구성했다. 스카이십에 탑재한 스카이스캔은 반경 50미터의 요구조자를 탐색한다. 발견하면 스카이십에서 드론을 보내 세부 상황을 살핀다. 스카이십 로봇은 구조대원 도착 전 응급구호물품을 전달한다. 스카이십C3 스테이션은 통제센터다.
하지만 의욕이 앞섰다. 기술 대부분 실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개념이다. 기자간담회에서 시연은 동영상 상영으로 진행했다. 통제센터에서 비행선을 조정하거나 비행선에서 드론을 사출하는 등의 조작은 아직 안정적인 상태가 아니다.
KT 네트워크부문장 오성목 사장은 “기술 역량을 보여주려고 한 것”이라며 “재난망 관련 인력을 현재 공개하기는 어렵지만 수주를 하면 전국적으로 큰 규모로 하게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 사장은 KT가 재난망 사업자로 적합한 이유를 ▲광케이블 지중화 ▲마이크로웨이브 및 위성 통신망 보유 ▲통신국사 내진설계 등을 내세웠다. 재난이 발생했을 때 통신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SK텔레콤은 반박했다. 지중화보다는 재난망 구축이 힘든 지하나 건물 등 음영지역을 없앨 수 있는 기지국 숫자가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통신 3사 중 기지국 숫자는 SK텔레콤이 가장 많다. 내진 설계는 KT뿐 아니라 SK텔레콤 LG유플러스도 한다. 또 20년 연속 통신 품질 1위 노하우 등을 앞세웠다.
SK텔레콤은 작년 2월 부산도시철도 1호선에 철도LTE(LTE-R)을 구축했다. 서울 지하철과 하남선 등에도 LTE-R 구축 계약을 체결했다. 공공안전솔루션 등 사고 대응을 위한 해법도 보유했다. 강원소방본부와 대구지방경찰청 등과 협력을 통해 실전 시험을 거쳤다. 강원소방본부는 소방관이 현장서 보내는 영상을 기반으로 상황실에서 체계적으로 대응한다. 대구지방경찰청은 수색용 드론, 순찰 차량 카메라, 영상관제 시스템 등을 사용 중이다.
LG유플러스는 테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는 것 말고는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있다. SK텔레콤 KT에 비해 내실을 다지는 것인지 내놓을 것이 없는 것인지 둘 중 하나로 여겨진다. LG유플러스는 통신사 중 유일하게 비가시권 드론 허가를 갖고 있다. 비가시권 드론은 보이지 않는 곳에서 드론을 조종해 탐색 등을 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안정적 재난망 사업의 설계 구축 운영을 위한 기술력과 역량을 갖추고 있어 재난망 사업 참여를 자신하고 있다”며 “중소기업과 국내 기술 확보 및 상생협력 차원에서 기술력이 있는 업체를 중심으로 컨소시엄 구성을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