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강원도 원주. 지진으로 인해 산사태가 발생했다. 얼마나 많은 사람이 대피를 하지 못해 위급한 상황에 놓였는지 이들을 구조하기 위해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실시간 상황 파악이 시급하다.
25일 KT는 강원 원주시 KT그룹인력개발원 원주연수원에서 재난안전분야 ‘스카이십 플랫폼’을 공개했다. 앞서 언급한 상황에 대한 KT의 해결책이다. 스카이십 플랫폼은 ▲스카이십 ▲스카이십C3 스테이션 ▲스카이십 드론 ▲스카이십 로봇 등으로 구성했다.
스카이십은 무인비행선이다. 스카이십은 재난 현장을 순회하며 구조자를 찾는다. 스카이십엔 스카이십 팟이 달려있다. 일반 및 열화상 카메라와 초소형 롱텀에볼루션(LTE) 기지국이 부착돼 있다. 스카이스캔이라고 명명한 탐색 솔루션이다. 영상 또는 스마트폰 신호로 구조자를 찾는다.
KT 네트워크부무장 오성목 사장은 “모든 통신사 신호를 탐색할 수 있다. 통신사가 통신에 쓰는 번호를 찾고 이를 고객 데이터베이스(DB)와 연동하는 방식”이라며 “구조자와 요구조자의 신호는 필터링을 통해 구분한다”라고 설명했다.
구조자를 발견하면 스카이십에 탑재한 스카이십 드론이 출동한다. 세부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다. 영화 어벤져스에 등장한 하늘 위의 항공모함 ‘핼리캐리어’를 연상하면 쉽다. 스카십이 핼리캐리어 드론이 함재기다. 스카이십은 관제센터 반경 100킬로미터를 비행한다. 드론은 스카이십 반경 3킬로미터를 수용한다.
오 사장은 “현재 스카이십1로 시연을 했지만 올해 상용화할 스카이십2는 최대 초속 13미터까지 견디며 6시간을 비행할 수 있다. 드론은 2기까지 실을 수 있다”라며 “오는 2020년 상용화할 스카이십3은 최대 속도 시속 100킬로미터로 최대 풍속 초속 15미터까지 버티며 12시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구급대가 출동 전 우선 스카이십 로봇이 선행했다. 응급물품 전달과 장소를 표시하기 위해서다. 스카이십 로봇에서 발사한 연막탄은 구조대의 길잡이 역할을 한다. 현장에 도착한 구조대는 증강현실(AR) 글래스를 쓰고 있다. 구조대의 시각을 아주대학교의료원 경기남부권역외상센터와 실시간 공유한다. 아주대 이국종 교수는 중계 영상을 보며 원격진료를 했다.
이 교수는 “이론적으로는 가능할 것으로 생각했지만 실제 해 보니 앞으로 의료현장 적용할 경우 굉장한 임팩트가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스카이십C3 스테이션은 통제센터다. 통제센터가 비행선을 관찰해 비행을 통제한다. 비행선이 움직이면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9개의 모니터를 통해 비행선 생태와 촬영 영상 등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기술이 대한민국을 보다 안전하게 만들고 있다. 오 사장은 “5세대(5G) 무선통신 시대가 되면 더 고도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라며 “KT가 재난안전기술을 선도해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드는데 앞장 설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