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이동전화 번호이동 시장이 꽁꽁 얼어붙었다. 지원금 상한제는 사라졌지만 통신요금 인하 여파, 영업일 감소, 정부의 과징금 등의 영향으로 2월 번호이동이 40만 이하로 떨어졌다.
2일 통신사업자연합회에 따르면 2월 번호이동은 39만7616명으로 전월에 비해 20.5%나 감소했다.
단말기유통법이 시행되기 전인 2014년 2월과 비교하면 3분의 1수준도 안된다. 단말기유통법 시행 이후에도 50만 이상을 기록했다는 점에서 이번 달 번호이동 규모는 이례적이다. 번호이동이 40만 이하로 떨어진 것은 단말기유통법이 시행된 2014년 10월에 37만5000명이 있었고 그 전에는 10년도 더 된 2005년 6월에 39만5000을 기록한 바 있다.
이달에는 딱히 승자로 부를 만한 사업자를 찾기 어렵다. 서로 비슷한 규모의 가입자를 주고 받았다. 알뜰폰이 소폭 가입자를 늘렸지만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단말기유통법 시행 이후 번호이동 규모는 꾸준히 감소했다. 단통법 이전에는 지원금 규모가 들쭉날쭉하다보니 통신사를 바꾸는 것이 더 유리했다. 하지만 단통법 시행 이후 지원금에 상한선이 생겼고, 지난해 10월 상한제가 폐지됐지만 지원금에 상응하는 요금할인 규모가 20%에서 25%로 확대되면서 번호이동 이점이 더욱 축소됐다.
특히, 올해 1월 방송통신위원회가 단통법을 위반한 이통3사에 과징금 506억원을 부과한 것이 2월 냉각기의 결정타가 됐다.
여기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보편요금제 도입 논의가 최고점에 달하면서 이통사들의 운신폭은 더욱 축소될 수 밖에 없었다. 이밖에 이통사들은 평창동계올림픽이라는 대형 스포츠 이벤트도 번호이동에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한편, 이달 16일부터 삼성전자의 갤럭시S9 판매가 시작된다. 이통3사 카드할인에 중고폰 보상 프로그램, 사은품 등을 통해 이용자들에게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이통사들의 본격적인 판매전쟁이 예상되는 만큼, 번호이동 규모에도 변화가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