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스마트폰 통화 장애, 통신사·제조사·OS업체 누구 탓?
디지털데일리
발행일 2010-10-24 13:21:22
- 조기해결 위해 모든 업계 참여 유도 필요성 제기…원인 가능성 ‘통신사↓·제조사↑·OS업체↑’
[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국정감사를 계기로 통신정책을 총괄하는 방송통신위원회가 직접 스마트폰 통신 품질 문제를 조사키로 했다. 최근 발생하고 있는 일부 스마트폰의 음성 통화 장애를 더 이상 지켜보기 힘들다는 판단에서다.
지난 22일 방통위 황철증 네트워크정책국장은 “스마트폰 수실 불량 문제는 통신망 과부하와 운영체제(OS) 기반 스마트폰 자체 문제”라며 “전파연구소 시험 등을 통해 개선책을 찾겠다”라고 밝혔다.
◆통신서비스 특성상 상황 재연 ‘난점’…방통위 역할 중요=현재 스마트폰 수신 문제는 통신사와 제조사, OS 개발사 모두 ‘자신 때문이 아니다’라는 진실공방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불편을 겪고 있는 사용자만 늘고 있다.
때문에 이번 스마트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통신사, 제조사, OS 업체 모두가 참여하는 조사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상황 재연이 쉽지 않다는 통신서비스의 특성상 개별 조사로는 원인규명과 해결이 길어질 수도 있다.
더구나 스마트폰 문제는 일단 네트워크와 단말기 두 측면에서 다양한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특정사 책임으로 결론이 날 경우 시장 판도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어 관련 업계 모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네트워크 문제는 우선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때문이라는 지적이 많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데이터 통신이 음성 통화 품질을 떨어뜨리고 이것이 스마트폰의 음성 통화 성공률을 낮춘다는 분석은 설득력이 없다. 이 때문이라면 그 지역 기지국 모든 3G 휴대폰에 장애가 발생해야 한다. 최소한 그 지역 3G 스마트폰 모두 통화를 못해야 한다. 네트워크 설계 자체가 그렇다.
◆데이터 무제한 탓?, 3G 일반폰도 장애 생겨야=한 이동통신사 네트워크 관리 담당 관계자는 “무제한 데이터 때문이라면 장애는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일반폰에서도 발생해야 하는데 지금은 그런 상황이 아니다”라며 “국내는 해외와 달리 기지국이 촘촘히 설치돼 있어 커버리지 문제로 음성 통화 문제가 생기기도 힘들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네트워크 문제가 아니라고 할 수는 100% 장담할 수는 없다. 스마트폰 도입 이후 국내 3G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사용량 증가는 폭발적이다. 작년말 대비 300% 이상 증가했다.
현재 SK텔레콤과 KT은 2.1GHz 주파수에서 3G 서비스를 하고 있다. 국내 3G 서비스 기반인 WCDMA는 음성과 데이터를 대역폭(FA) 내에서 모두 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SK텔레콤과 KT는 9월까지 전국에서 4FA를 3G에 사용했다. 그러나 SK텔레콤의 경우 데이터 무제한 서비스 이후 1개 FA를 데이터에 배정했으며 이달 2FA를 수도권에 증설했다. KT는 그대로다. 양사의 3G 가입자 비중을 고려하면 SK텔레콤이 KT에 비해 2배 여유가 있다.
◆SKT 용량 증설 과정·KT 절대 용량 부족, 3G 장애 가능성 ‘제기’=결국 SK텔레콤은 네트워크 증설과정에서 KT는 제한된 네트워크 용량 때문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했던 셈이다. 네트워크 용량 문제는 향후 시한폭탄이다. 스마트폰 사용자가 몰려있는 수도권 증설을 마친 SK텔레콤은 전국 확대 시기를 조율 중이다. 절대적 용량이 부족한 KT는 무선랜(WiFi), 와이브로 등 대체 네트워크에서 해답을 찾고 있다.
또 각 통신사에 공급하는 회사와 스마트폰 OS가 다른 점도 네트워크 문제가 없다고 확신할 수 없는 소지가 있다. 제조사 하드웨어 및 OS가 통신사 시스템과 충돌할 수도 있어서다.
SK텔레콤은 안드로이드폰에서 KT는 아이폰에서 대부분의 음성 통화 장애가 신고되고 있다. 이 때문에 SK텔레콤은 가장 많은 안드로이드폰을 공급한 삼성전자와 함께 확인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반면 KT는 자사의 최대 스마트폰 공급업체인 애플과 별다른 협력을 하고 있지 않다. 자체 조사 결과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발생된 사용자 불만은 애플에 전달한다.
◆OS 원인일 경우 문제 장기화 ‘우려’=스마트폰이 문제라면 그 이유는 3가지 정도로 꼽힌다. 첫 번째는 OS 상의 오류 또는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충돌 등이다. 이 문제라면 국내에서는 해결하기 어렵다. 장기화 될 수밖에 없다. ‘아이폰3GS’가 OS 업그레이드 후 일부 사용자가 통화 품질 불만을 신고하고 있다는 점에서 부각되는 원인이다.
국내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안드로이드 OS와 아이(i) OS는 구글과 애플 등 외국 업체가 만들었다. 국내에서 문제가 생긴다고 휴대폰 제조사나 통신사가 건드릴 수가 없다. 안드로이드 OS는 개방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핵심 코어는 공개되지 않는다. 구글과 애플이 해결해주지 않으면 대안이 없다.
애플리케이션 충돌 역시 제조사와 통신사가 해결할 수 없는 문제다. 앱 마켓에서 이뤄지는 테스트는 OS나 네트워크와의 장애여부지 다른 앱들과 테스트가 꼼꼼하게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구글과 애플의 검수과정이 변해야 한다.
두 번째는 베이스밴드 칩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간의 문제다. 스마트폰은 전파를 수신하는 베이스밴드 칩과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AP 두 가지를 내장했다. 기존 휴대폰은 베이스밴드 칩에서 모든 역할을 했다. 퀄컴 스냅드래곤 프로세서는 베이스밴드 칩과 AP를 원칩으로 만든 제품이다.
◆다기능 고사양화 숙명?, 제조사 ‘노하우’ 확보 시기 필요=국내 출시 스마트폰의 경우 대부분 스냅드래곤을 쓰고 있지만 삼성전자 ‘갤럭시S’는 퀄컴 베이스밴드 칩과 삼성전자 AP를, 애플 ‘아이폰4’는 인피니온 베이스밴드 칩과 애플 AP를 사용한다.
스마트폰에 전화가 오면 베이스밴드 칩이 이를 수신해 AP를 통해 벨소리를 울려 사용자가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통화 과정에서는 베이스밴드, AP, 통화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모두 동작하고 각각이 원활이 연동 되도록 시스템에서 지원해줘야 한다. 이 과정을 제어하는 프로그램들과 스마트폰 OS와의 궁합도 맞아야 한다. 예를 들어 베이스밴드칩과 AP의 커뮤니케이션에 문제가 생기면 전화가 수신되도 벨소리가 울리지 않아 사용자는 모르게 된다.
일반폰은 이런 문제를 베이스밴드 제조사가 해결해줬다. 각 부품과 어떤 프로그램이 적합한지 솔루션 형태로 공급해줬다. 이제는 이 일을 휴대폰 제조사가 알아서 해야 한다. 아직 충분한 노하우가 없다. 더구나 OS를 만질 수 있는 범위도 제한됐다.
자체 OS를 보유하고 있는 애플의 역시 AP까지 자신들이 설계한 제품을 탑재한 것은 ‘아이폰4’가 처음이다.
◆시장 급증에 따른 품질검수 불충분 가능성도=마지막은 설계 또는 제조 공정 문제 같은 하드웨어 결함 등이다. 일단 설계 결함은 아닐 것으로 추정된다. 설계 결함이라면 개통된 모든 기종이 통화가 제대로 되지 않아야 한다. 대부분 문제는 없다. ‘갤럭시S’가 통화 품질과 관련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실시한 적이 있지만 이는 사용자환경(UI)을 최적화하기 위해서였다. 설계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제품은 애플 ‘아이폰4’ 뿐이다. 그러나 ‘아이폰4’도 모든 제품이 같은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아니다.
제조 공정 문제 가능성은 휴대폰 불량률이 증가하고 있는 점에서 원인으로 꼽힌다. KT는 이번 국정감사에서 ‘아이폰3GS’의 경우 지난 7월까지 84만6000대를 판매했고 AS는 8만4000대를 했다고 밝혔다. 10대 중 1대는 불량인 셈이다. 스마트폰 제조는 대부분 사람 손을 거친다. 또 일반폰보다 많은 부품이 쓰인다. 일정 기준을 통과한 부품과 공정이지만 불량이 생길 확률은 높아진다. 이런 불량이 음성 통화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대안은 품질검수 강화가 있다.
한 제조사 품질관리부분 관계자는 “지금의 문제는 책임을 한 쪽으로 따지기는 어렵지만 굳이 묻는다면 제조사가 60%, 통신사가 40%일 것”이라며 “스마트폰을 만들기 위해서는 기존 제조 노하우 외에도 소프트웨어 노하우가 많이 필요한데 해외 업체들을 비롯 국내 업체 모두 2~3년 경험 밖에 없다. 일반폰도 처음 나왔을 때 얼마나 많은 품질 문제가 있었는지 생각해보면 짐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초기 휴대폰 도입 당시 ‘한국지형에 강하다’라든지 ‘걸면 걸린다’ 등 통화 품질 문제가 마케팅 도구로 활용됐던 것도 그 이유”라고 덧붙였다.
◆품질 조사, 스마트폰 사용 환경 개선 계기 될 듯=이에 따라 방통위가 진행하는 통화 품질 조사가 성과를 거두려면 통신사만 대상이 아니라 제조사를 모두 아우르는 검사가 진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제조사의 경우 국내 제조사만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해외 제조사 엔지니어들이 참여하는 것이 필수다. 또 OS 개발사의 협력도 요구된다.
업계 관계자들은 “통신서비스라는 것이 특성상 장애 환경을 똑같이 재현하기 어렵지만 모두를 모아놓고 약전계 지역 등에서 1주일 가량만 집중적으로 조사하면 바로 나올 문제”라며 “특정사에 책임이 전가되지 않고 사용자 불편 기간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방통위가 중심을 잡고 한꺼번에 업계가 참여해 검수가 진행되야 한다”라고 공동조사의 필요성에 대해 입을 모았다.
한편 이번 방통위의 조사 결정은 통신사 제조사, OS업체 등 관련 업계가 품질 문제에 한 번 더 신경을 쓰는 계기로 작용할 전망이다. 사용자를 볼모로 테스트를 하는 관행도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윤상호 기자>crow@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