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회의 시스템이 기업들의 주요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올해 상반기에는 공공 부문이 영상회의 업계의 중요한 시장으로 자리매김했다.
지난해부터 이어져 오고 있는 극심한 경기침체로 국내 IT 업계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지만, 영상회의는 ‘비용 절감+업무효율 향상’ 솔루션이라는 장점이 부각돼 의 전체적인 난항 속에서도 꾸준히 주목을 받아왔다.
이런 가운데, 공공 부문이 상반기 영상회의 시장에서 효자 노릇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공공 부문의 영상회의 관련 사업은 공공기관 물자 구매 사이트인 나라장터(www.g2b.go.kr)에서도 여실히 확인할 수 있었다.
나라장터에서 ‘영상회의’ 또는 ‘화상회의’라는 키워드로 검색을 한 결과, 상반기에 모두 42건의 크고 작은 사업이 입찰공고됐다.
분기 별로는 1분기에 25건, 2분기에 17건을 기록했으며, 기관 별로는 중앙부처가 7건, 지방자치단체가 22건, 공사가 10건이었다. 또, 국방부가 3건의 입찰공고를 낸 것도 눈에 띄는 부분이다.
지방자치단체 가운데서는 부산광역시와 충청도가 각각 5건씩 가장 많은 입찰공고를 내 이들 지역에서 영상회의를 통한 업무프로세스 향상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올해 들어서는 공공기관들도 고화질(HD) 영상회의에 본격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공공기관이 이처럼 영상회의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에 적극 나선 것은 무엇보다도 ‘공공기관 예산 조기집행’ 방침의 영향이라는 것이 업계의 공통된 시각이다.
보통 공공 부문은 예산이 3분기부터 본격 집행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올해는 정부의 예산 조기집행 방침에 편승해 1~2분기에 예년보다 많은 물량이, 꾸준히 나왔다는 것이다.
또, 기존에 소규모로 영상회의를 많이 도입해왔던 공공 부문에서 영상회의의 효과가 제대로 평가받기 시작한 것도 공공기관 영상회의 도입이 늘어난 이유로 꼽힌다.
업계 관계자는 “영상회의는 출장 및 회의에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업무 효율성·생산성을 높이는 효과도 있다”며, “공공기관들이 예년처럼 낡은 IT인프라를 기계적으로 교체하는 식에서 벗어나, 업무를 개선하는 방안을 고민하면서 영상회의가 더 주목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앞으로는 공공 부문에서도 모바일 영상회의 수요가 생겨날 것으로 기대된다.
영상회의 업계는 “HD영상회의 시장은 유무선통합(FMC) 서비스를 기반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며, “공공기관 종사자들도 이동 업무가 많은 만큼, 앞으로 공공 분야에서도 사무실·회의실과 3G 영상통화 단말기를 연동하는 방안이 고민되기 시작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김재철 기자>mykoreaone@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입법조사처 "SKT 해킹사고 계기, 법에 위약금 면제 조치 추가해야"
2025-05-07 19:18:08[DD퇴근길] 최태원 SK 회장, 'SKT 해킹 사태'에 꺼낸 첫 마디는
2025-05-07 17:07:31KT, 퉁신 인프라 구축 필요없는 ‘MS 팀즈폰’ 출시
2025-05-07 13:55:14“보안 넘어 국방의 문제” 의지 밝힌 최태원…'위약금 면제'엔 말 아껴 (종합)
2025-05-07 13:28:42최태원, SKT 해킹사고 직접 대응나서…“정보보호위원회 구성할 것”
2025-05-07 11:14:59"NCT127·에스파 땡큐"…SM엔터, 1Q '콘서트'에 웃었다
2025-05-07 19:18:21인기협, 디지털 입법 실효성 점검한다... 8일 굿인터넷클럽 개최
2025-05-07 17:53:42K-컬처 전성기, 정책은 어디쯤?…"전폭적 국가 지원 절실"
2025-05-07 17:30:45韓 공간정보산업계 90% "구글 정밀지도 반출 요청 반대"
2025-05-07 17:30:09[컨콜 종합] 카카오게임즈 "넵튠 매각 지분, 부채 일부 상환도 검토"
2025-05-07 14:5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