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뉴스

은행권, 최대 실적에도 신입 채용엔 인색… 인뱅 3사는 '경력직' 위주로

김현정 의원 “최대 실적 거둔 은행, 고용 통한 사회적 책임 다해야”

5대 시중은행 ⓒ각 사
5대 시중은행 ⓒ각 사

- 작년 사상 최대 순이익에도 신입 고용 축소인뱅은 경력만 채용

[디지털데일리 박기록기자] 국내 은행들이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수혜를 톡톡히 누리면서 최근 2~3년간 역대급 실적을 기록했지만 정작 신입사원 채용 등 고용 문제에 있어서는 사회적 책무를 등한시해온 것으로 분석됐다.

7일 정무위원회 소속 김현정 의원(더불어민주당, 평택 병)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4대 금융지주(신한·우리·하나·국민)의 순이익은 총 16조 4205억 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입 정기 채용 인원은 오히려 줄어드는 추세다.

신한은행은 전년 대비 35명 감소, 우리은행은 118명 감소, 하나은행은 57명 감소했으며 당초 채용 계획보다도 적은 인원만 채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협은행은 상반기 채용 일정을 앞당기면서 전년 대비 채용 인원이 증가했으나 이 역시 이례적인 일회성 증가에 불과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김현정 의원실
ⓒ김현정 의원실

인터넷전문은행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김 의원실에 따르면, 카카오뱅크는 최근 5년간 신입직원 정기 채용이 전무했으며 토스뱅크는 지난해와 올해 각각 1명만 채용했다.

케이뱅크 역시 두 자릿수 채용에 그쳤고, 올해는 8명으로 축소됐다. 대신 이들 인터넷은행은 경력직 위주의 채용으로 인력을 충원하고 있어, 청년 구직자들에게 실질적인 기회가 돌아가지 않고 있다.

김현정 의원은 "최근 청년 고용 환경이 빠르게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그냥 쉬는 청년’도 50만 명을 넘어섰다“며 “은행은 국민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는 곳인만큼, 고용을 통한 사회적 기여와 책임을 다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같은 지적에 대해 카카오뱅크측은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수시 채용, 채용 전환형 인턴 제도 등을 통해 신입사원을 채용하고 있으며, 신입사원 공채는 73명"이라고 해명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정기 대규모 공채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0명으로 오인된 것 같다"고 설명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