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공지능(AI) 산업을 필두로 한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이 치열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습니다. 국내 인터넷 기업 '네이버(Naver)'와 '카카오(Kakao)' 역시 기술 고도화와 조직 혁신을 통해 글로벌 경쟁에 대응하고 있는데요. <디지털데일리>는 '네카오는 지금'을 통해 한국 인터넷업계를 대표하는 쌍두마차 네이버·카카오(네카오)의 '현재'와 '다음'을 분석합니다. <편집자 주>
[디지털데일리 채성오기자] 오는 4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로 인해 온라인 트래픽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네이버와 카카오 등 인터넷 기업들도 일제히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3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와 카카오는 탄핵심판 선고일에 맞춰 비상 대응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양사는 탄핵심판 전·후로 몰릴 트래픽에 대응하기 위해 뉴스 페이지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한편 포털사이트(네이버·다음) 등 접속자가 몰릴 서비스에 대해 서버 용량을 증설하는 등 이용자 불편이 없도록 준비를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는 ▲언론사생중계 ▲뉴스생중계 ▲뉴스라이브 등 질의어 검색 결과에 일부 방송사 생중계 바로가기 링크를 모아서 보여주는 형태로 트래픽을 분산시키는 방안도 강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네이버 관계자는 "네이버 메인, 뉴스 등 트래픽이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서비스별로 모니터링 강화하고 사전점검 등 대응 체계를 고도화하고 있다"며 "별도 서비스 운영 정책은 달라지지 않지만 최선을 다해 트래픽에 대응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카카오의 경우, 포털 다음에 탄핵 관련 주요 기사 및 특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이슈 포커스' 페이지를 새롭게 오픈했다. 이슈 포커스 페이지에 탄핵 심판 관련 기사를 모아서 제공하는 한편 진행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탄핵 심판 타임라인'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포털 다음 내 이슈 포커스 페이지에선 오는 4일 오전 11시 헌법재판소에서 진행되는 뉴스 라이브를 제공해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것으로 전해졌다.
카카오 관계자는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한 대응 체계를 수립해 트래픽 폭증 등의 상황에 대응하고 있다"며 "트래픽 변동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서버 등 인프라 확충, 기술적인 조치 등을 통해 비상 상황에 대응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유영상 “돈버는 AI 성과 본격화”…AI 성과 가시화 재차 강조
2025-04-04 10:44:29'尹 운명의 날'…통신3사, 탄핵선고 앞두고 총력 대비
2025-04-04 10:08:18[단독] 유료방송 위기여파 PP로…“콘텐츠 사용료 약 1200억원 감소 전망”
2025-04-03 17:44:35[DD퇴근길] 5대 AI에게 물었다…"尹 탄핵심판 결과, 어떨 것 같니?"
2025-04-03 17:13:51[인터뷰] 이해민 의원, "美 통상마찰 없이 '망 무임승차' 해결하려면"
2025-04-03 15:59:44KT알파 쇼핑,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 점유율 1위 ‘로보락’ 최신상 판매
2025-04-03 13:35:10[윤석열 파면] "윤석열 대통령을 파면한다" 한 마디에 '카톡' 불 붙었다
2025-04-04 11:46:30크래프톤 ‘인조이’, 출시 1주 만에 100만장 판매… ‘배그’보다 빨랐다
2025-04-04 10:44:51"취향 따라 고르는 뷰티"…29CM, 첫 '이구뷰티위크' 연다
2025-04-04 10:44:10中 '폭싹 속았수다' 도둑 시청 인정?…장가계시 홍보 수단으로 사용
2025-04-04 09:35:23[네카오는 지금]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임박, 트래픽 폭증 대응책은?
2025-04-03 18:11:06[DD퇴근길] 5대 AI에게 물었다…"尹 탄핵심판 결과, 어떨 것 같니?"
2025-04-03 17:1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