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인터넷

[네카오는 지금]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임박, 트래픽 폭증 대응책은?

최근 인공지능(AI) 산업을 필두로 한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이 치열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습니다. 국내 인터넷 기업 '네이버(Naver)'와 '카카오(Kakao)' 역시 기술 고도화와 조직 혁신을 통해 글로벌 경쟁에 대응하고 있는데요. <디지털데일리>는 '네카오는 지금'을 통해 한국 인터넷업계를 대표하는 쌍두마차 네이버·카카오(네카오)의 '현재'와 '다음'을 분석합니다. <편집자 주>

윤석열 대통령. [ⓒ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 연합뉴스]

[디지털데일리 채성오기자] 오는 4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로 인해 온라인 트래픽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네이버와 카카오 등 인터넷 기업들도 일제히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3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와 카카오는 탄핵심판 선고일에 맞춰 비상 대응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양사는 탄핵심판 전·후로 몰릴 트래픽에 대응하기 위해 뉴스 페이지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한편 포털사이트(네이버·다음) 등 접속자가 몰릴 서비스에 대해 서버 용량을 증설하는 등 이용자 불편이 없도록 준비를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는 ▲언론사생중계 ▲뉴스생중계 ▲뉴스라이브 등 질의어 검색 결과에 일부 방송사 생중계 바로가기 링크를 모아서 보여주는 형태로 트래픽을 분산시키는 방안도 강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네이버 관계자는 "네이버 메인, 뉴스 등 트래픽이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서비스별로 모니터링 강화하고 사전점검 등 대응 체계를 고도화하고 있다"며 "별도 서비스 운영 정책은 달라지지 않지만 최선을 다해 트래픽에 대응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카카오의 경우, 포털 다음에 탄핵 관련 주요 기사 및 특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이슈 포커스' 페이지를 새롭게 오픈했다. 이슈 포커스 페이지에 탄핵 심판 관련 기사를 모아서 제공하는 한편 진행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탄핵 심판 타임라인'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포털 다음 내 이슈 포커스 페이지에선 오는 4일 오전 11시 헌법재판소에서 진행되는 뉴스 라이브를 제공해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선고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것으로 전해졌다.

카카오 관계자는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한 대응 체계를 수립해 트래픽 폭증 등의 상황에 대응하고 있다"며 "트래픽 변동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서버 등 인프라 확충, 기술적인 조치 등을 통해 비상 상황에 대응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