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통신*방송

SKT 유영상 “돈버는 AI 성과 본격화”…AI 성과 가시화 재차 강조

유영상 CEO가 사내 행사에서 구성원들에게 AI 피라미드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SK텔레콤]
유영상 CEO가 사내 행사에서 구성원들에게 AI 피라미드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SK텔레콤]

[디지털데일리 오병훈기자]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AI 산업을 공급자와 수요자 관점으로 구분해 구체적인 AI 수익창출 성과를 보이겠다고 밝혔다. AI를 통한 운영 효율 제고와 신성장 AI 사업을 적절히 배합해 궁극적으로는 완전한 AI 전문 기업이 되겠다는 계획이다.

4일 SK텔레콤에 따르면, 유 대표는 최근 사내 인트라넷을 통해 ‘AI피라미드 전략 2.0’과 2025년 사업전략을 구성원에 공유했다. 유 대표는 이를 통해 현재 SK텔레콤이 추진 중인 AI 사업의 흐름과 그 목표에 대한 철학을 설명하며, 사업 성과 도출 및 추진 계획 등을 언급했다.

먼저 그는 “회사는 시장과 기술 환경 변화 속에서 ‘돈버는 AI’ 성과를 본격화 하기 위해 AI 피라미드 2.0 전략을 수립했다”며 “AI 피라미드 2.0 핵심은 피라미드를 수요자와 공급자 관점 두개로 인수분해해, 지금 우리에게 주어진 문제를 푸는 것”이라고 말했다.

유 대표는 먼저 글로벌 통신사이 대부분 ‘수요자로서의 AI’에 관심이 많다고 봤다. 네트워크에 AI를 도입해 운용 비용을 절감하고, 이용자 접점 마케팅에 활용하는 등 ‘텔코 비즈(Telco Biz)’ 자체를 효율화시켜 AI를 통한 운영개선(O/I)에 집중한다는 것이다.

이어 ‘공급자로서의 AI’는 AI를 통한 신성장 영역이라고 봤다. 수요자로서 AI 경험과 역량을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궁극적으로 수요자와 공급자 관점 전략을 연계하고 구심점이 되는 것이 바로 고도화된 경영관리 시스템이라는 것이 유 대표 분석이다.

이어 유 대표는 “현재는 임시적으로 수요자 관점과 공급자 관점으로 인수분해했지만, 궁극적으로는 이 둘을 융합시킬 것”이라며 “두개 피라미드가 융합되는 시기가 왔을 때, 우리 회사는 진정한 AI 컴퍼니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 대표는 올 해 SK텔레콤 AI 전략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전략을 구체화 해 다양한 유형 고객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AI 데이터센터(DC) 수익모델(BM) 라인업을 만들었다는 설명이다. 특히, 람다와 협력해 구축한 서비스 형 그래픽처리장치(GPUaaS)는 지난해 12월 가산DC를 시작으로, 빠른 매출 창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AI DC가 신속하게 필요한 사업자를 타깃으로 한 ‘모듈러(Modular) DC’, 보안 등을 목적으로 싱글 클라이언트에 최적화된 ‘디디케이티드(Dedicated) DC’에 더해 ‘하이퍼스케일(Hyperscale) AI DC’ 까지, 맞춤형 상품(A La Carte)로 모든 수요를 충족하는 것이 유 대표 계획이다.

그는 “AI 기업 간 거래(B2B)는 SK C&C와 협력체계를 구축해 인공지능 전환(AIX) 시장을 공략할 것”이라며 “회의, 보고와 같은 일상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에이닷 비즈’, 법무·세무 등 전문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도구인 ‘에이닷 비즈 프로’를 연내 SK 멤버사에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SK텔레콤이 개발한 멀티 대형언어모델(LLM) 서비스 ‘에이닷(A.)’ 성과도 공유했다. SK텔레콤은 에이닷 가입자 900만명을 확보했으며, 에이닷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파트너십을 강화할 계획이다. 최근 베타 서비스 출시를 ‘한 에스터(A*, Aster)’는 글로벌 향으로 준비한 AI로,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GTAA)를 비롯한 각국 텔코 및 로컬 서비스 제공자와 협력해 더 넓은 사용자층을 확보할 방침이다.

유 대표는 개발 마무리 단계에 있는 LLM ‘에이닷엑스(A.X) 4.0’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고성능 고효율 한국어 특화 LLM으로, 연내 멀티모달, 추론 모델까지 계속 개발한다는 입장이다.

유 대표는 “GTAA는 AI협력을 더 공고히 하여 LLM 개발, AI 에이전트 그리고 AI 인프라 영역까지 협업을 확대할 것”이라며 “K-AI Alliance에는 꾸준히 스타트업이 추가될 계획이며, AI 기술과 사업 협력을 통해 한국형 AI 생태계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전했다. 또, “해외에서는 람다, 앤트로픽, 펭귄, 퍼플렉시티와 파트너십에 더해 선제적인 투자와 파트너십을 계속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