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뉴스

'스테이블 코인' 때문에 강달러 현상 유발?… 결코 가볍게 볼 수 없는 이유

ⓒ비트코인
ⓒ비트코인

[디지털데일리 박기록기자] 지난 18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사회를 맡은 윤한홍 정무위원장은 출석한 김병환 금융위원장에게 매우 흥미로운 질문을 던졌다.

윤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 당선이후 3개월동안 비트코인을 비롯한 주요 가상자산 가격이 크게 올랐고, 특히 달러와 가치가 연동되는 스테이블코인의 발행량이 25% 늘었다"며 "스테이블코인을 구매하기위해서는 시장에서 미 국채를 매입해야하고, 결국 이로인해 달러 수요가 늘어나면서 강달러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금융 당국의 대응은 무엇이냐"는 것이었다.

이는 '미 연방준비제도가 예상했던 수준만큼 기준 금리를 인하하지 않음에 따라 강달러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는 기존의 시각과는 크게 다른, 신선한 접근이다.

윤 위원장은 "스테이블코인을 이용해 미국이 국채 시장을 매개로 시장에 풀린 통화량(달러)을 거둬들이고 있고, 우리 정부도 이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미국의 기준금리 변동 여부만으로 원달러환율의 변동성을 예측하지 말라는 주문이다.

흥미로운 것은 미국이 지난해 초 '비트코인 현물 ETF'을 승인하면서 가상자산을 사실상 제도권으로 진입시켰는데, 실제로 이러한 방법이 통화량 관리의 수단이 될수도 있다는 점이다.

물론 통화량 관리의 수단으로써 '스테이블코인' 등 유력 가상자산들이 어느정도의 역할을 하고있는지는 아직 충분한 경험치가 쌓이지 않은 상태다.

다만 미국이 기준금리 조절이나 국채발행, 조세정책 등을 통한 기존의 통화량 관리 수단으로써 달러를 관리하던 시대에서 이제는 가상자산을 활용해서도 그것이 가능할 정도로 정책당국자들의 인식이 진화됐다는 점은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미 통화 당국의 입장에선 통화량 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정책수단이 많으면 많을수록 나쁠게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국은 기준금리를 지난해 9월부터 단계적으로 인하하기 시작했지만 여전히 인플레이션이 잡히지않아 원하는 수준까지 금리를 내리지는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바꿔말하면, 이는 미국 정부가 기존 통화량 관리에 필요한 정책 수단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는 의미이기도하다.

만약 스테이블 코인이 미국의 통화량 관리 수단으로써의 역할을 하게된다면,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몸값은 기존보다는 커질 가능성이 높다.

몇몇 스테이블코인은 지금보다 강세를 보일 확률이 높아진다.

물론 어떤 스테이블코인이 정책 당국의 신뢰를 받게 될지는 알 수 없다.

다만 힌트는 유추할 수 있다. 무엇보다 비트코인처럼 발행량에 대한 시장 불확실성이 없어야한다. 또한 스테이블코인의 본질적 장점이긴하지만 가치변동성에 대한 방어력도 여전히 보장돼야한다.

한편 우리 금융 당국의 입장에선 환율결정 변수에 스테이블코인과 같은 가상자산이 추가되는 것이 결코 달갑지 않을 수 있다. 정책 대응이 기존보다는 복잡해지고 힘들어질 수 있기때문이다.

하지만 시장은 늘 변화하고, 정책적 대응은 늘 후행적일 수 밖에 없다. 질의를 받은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잘 살펴보겠다"는 원론적 답변이 그쳤지만 간과해서는 안될 질문이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