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e비즈*솔루션

"스마트폰 대체하나"...오픈AI 샘 울트먼, AI 단말기 개발 착수

아이폰 전 디자이너도 기기 개발 참여 예정

[ⓒ연합뉴스]
[ⓒ연합뉴스]

[디지털데일리 조윤정 기자]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스마트폰을 대체할 생성형 인공지능(AI) 전용 단말기 개발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독자 반도체 개발에도 나설 것으로 보인다.

3일(현지시간)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울트먼 CEO는 인터뷰를 통해 "AI는 컴퓨터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기 때문에 새로운 단말기가 필요하다"며 "음성(조작)이 핵심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챗GPT에 최적화된 단말기를 투입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모든 부문에서 AI 시장을 지배하기 위한 목적으로 풀이된다.

올트먼 CEO는 AI 단말기 개발에 대해 "제휴를 통해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아이폰을 디자인한 조니 아이브 애플 전 최고디자인책임자(CSO)와 손잡고 기기를 개발할 계획으로 시제품이 나오는 데는 앞으로 수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애플은 스마트폰의 손가락으로 터치 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도록 컴퓨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개편했지만, 오픈AI는 음성 조작을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 UI를 제작할 전망이다.

이어 그는 독자 반도체 개발에 대해서도 "자사에서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매체는 "울트먼 CEO가구체적인 언급은 피했지만, 데이터센터에 자사 설계 제품을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닛케이는 "미국의 구글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동시 개발하는 전략으로 인터넷 시대의 패권을 장악한 것처럼 오픈AI는 인공지능 시대의 선두주자를 노리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올트먼 CEO는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에 대해서는 "중국의 AI 개발 능력이 미국을 크게 따라잡고 있다"며 "중국과 다른 국가들이 AI 개발에서 앞서 나간다면 권위주의 국가들은 군사적인 목적을 포함해 국가 시스템을 강화하기 위해 AI를 남용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현재 오픈AI는 딥시크가 AI 모델 개발을 위해 오픈AI의 데이터를 무단으로 획득했는지 여부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

한편 오픈AI는 소프트뱅크그룹, 오라클과 함께 향후 4년간 총 5000억달러(약 735조원) 규모를 미국 AI 데이터센터에 투자하는 스타게이트 사업에 참여한다고 지난달 21일 발표했다. 올트먼 CEO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AI 인프라를 상류부터 하류까지 포괄하는 대규모 사업이 될 것"이라며 "반도체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협업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AI가 정보기술(IT) 산업의 판도를 완전히 변화시키는 가운데 2007년 아이폰 출시 이후 약 20년 만의 디지털 기기 혁신이 이뤄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