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에너지

美 현지 생산이냐, 국내 대응이냐…양극재 업계, 트럼프 리스크 대응 고심 [소부장박대리]

얼티엄캠의 지난해(2023년) 건설 공사 현장 전경 [ⓒ포스코퓨처엠]
얼티엄캠의 지난해(2023년) 건설 공사 현장 전경 [ⓒ포스코퓨처엠]

[디지털데일리 고성현 기자] 국내 배터리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이 미국 진출과 국내 대응 사이에서 고심하고 있다. 내년 출범할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에 따라 두가지 방안 모두 불확실성이 공존하고 있어서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배터리 양극재 업체들은 미국 진출에 대한 투자 시기를 조정하거나 국내 대응 중심으로 바꾸는 안을 고려하고 있다. 트럼프 당선에 따른 전기차·배터리 시장 정책 변화가 감지되면서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한 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포스코퓨처엠은 제너럴모터스(GM)와 캐나다에서 합작해 설립한 '얼티엄켐' 양산 일정을 연기했다. 당초 올해 9월 가동을 예상했으나 시황 악화가 지속되면서 양산 시점을 미루게 됐다. 다만 그룹 전사적으로 수산화리튬·니켈 등 핵심 원료를 내재화하고 있고, 시장 선점의 효과 등이 예상돼 투자는 지속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에코프로비엠 역시 북미 현지 양산 시기가 다소 불투명해졌다. 함께 캐나다 베캉쿠아에서 투자키로 했던 SK온, 포드 등이 저마다 전략을 수정하면서 양산 일정이 연기된 탓이다. 이와 관련 현지 합작법인인 '에코프로 캠 캐나다'는 올해에만 두 번 가량 건설이 중단된 바 있으며, 양산 시점도 기존 2026년 상반기에서 수개월에서 1년 이상 밀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엘앤에프는 사실상 국내 대응이 유력하다. 투자 시장 위축과 배터리 시황 악화로 추가 재원 마련이 어려운 상황인 만큼, 국내 생산라인 투자에 집중해 대응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배터리 재활용 업체인 레드우드 머티리얼즈와 추진키로 했던 북미 합작법인(JV) 설립도 지난해 교착에 이른 이후 진전되지 못하고 있다. 투자가 재개되더라도 국내에서 1차 소성 등 반제품 형태로 생산한 후, 현지에서 후처리·2차 소성만 진행하는 안 등을 고려하고 있다.

소재 기업들이 투자를 고민하는 이유는 전기차 시장 둔화와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따른 정책 불확실성 때문이다. 전기차 시장 둔화로 배터리 기업의 북미 투자가 일부 후순위로 밀려난 가운데, 내년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따라 전기차·배터리 및 광물 정책의 변화가 예고된 것이 영향을 끼쳤다는 의미다.

배터리 셀·소재사들의 혜택을 주는 내용을 담은 IRA의 경우 전면 폐기는 어렵다는 평가가 잇따른다. 배터리 등 투자가 테네시·조지아·켄터키 주 등 전통적인 공화당 지지 기반 지역에 집중돼 있고, 관련 제조 인력이 고용되는 등 일자리 창출에 적지 않은 공헌을 한 상황이어서다. 다만 행정명령 등으로 전기차 보조금 등 전방시장에 대한 수혜를 줄일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수요가 떨어지면 공장 가동을 위한 고정비 지출 확대가 불가피해 이에 따른 수익성 리스크 등을 고민하고 있다는 게 업계 측 입장이다.

다만 국내 생산 대응 역시 관세 부과에 따른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 특히 철강 등에 관세를 부과하거나 수입을 제한하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활용해 배터리, 핵심 광물, 부품에 대한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도 제기된 상황이다. 이를 보도한 로이터통신은 확보한 내부 문건에서 전세계적으로 모든 배터리 원료에 관세를 부과하되, 개별적으로 면세 여부를 협상할 것을 권고한 내용이 담겼다고 전했다.

업계 관계자는 "배터리 셀 제조사나 양극재 업체들은 이미 미국의 탈중국 기조와 현지 생산망 확충에 따라 관련 대응 방안을 마련해왔다. AMPC를 그대로 둘 가능성이 높은 점도 다행스러운 점"이라면서도 "다만 관련 정책의 강도에 따라 수익성이 크게 변동할 여지는 있어 이를 계속 모니터링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